잠재적 교육과정. 이 말이 참 무서운 말이다. “이것 이것이 중요해!”라고 가르치는 말보다 눈에 보이지 않지만, 잠재적으로(암묵적으로) 보이는 교사나 부모의 행동, 태도를 보고 자연스럽게 배우게 되는 교육과정, 그래서 그들의 삶이나 환경이 더욱 많은 영향을 주는 교육과정을 바로 잠재적 교육과정이라 한다. 일례로 아이에게 “예배시간에 지각하면 안 돼!”라고 가르치는 부모가 있다고 하자. 그런데 그 부모는 매 주일 예배시간에 지각한다. 이런저런 이유로. 그러면 아이는 “예배시간에 지각하면 안 돼!”라고 말하는 부모의 ‘말’을 배울까? 아니면 그런데도 늘 지각하는 부모를 보면서 ‘그래도, 지각해도 되지 뭐!’라고 그들의 ‘삶(행 동)’을 배울까?
1. 신앙교육 점검 부모 테스트(Test)
– Test: 세 개의 질문
– 질문 1. 아이는 선하다? vs 아이는 악하다?
– 질문 2. 우리 집 주도권은 누가 쥐고 있나?
– 질문 3. 신앙교육은 전문가의 일인가?
2. 신앙교육의 정의 알아야 면장을 하지!
– 알아야 면장을 하지!
– 착각1 교회에 보내면 저절로 신앙교육이 된다?
– 착각2 우리 어릴 때는 안 그랬는데…….
– 그래서 신앙교육은 ( )이다!
3. 신앙교육의 전략 1 실패한 전략
– 가도멸괵
– 필패전략(必敗戰略) 1, 신앙교육을 내일로 미루기
– 필패전략(必敗戰略) 2, ‘머리가 될지언정’의 기도
4. 신앙교육의 전략 2 : 일관성과 똑똑한 아이 콤플렉스
– 아이를 보며 나를 보다!
– 최선의 방책, 일관성!
– 지식전달 vs 인격적 감화
– 일관성 갖기 1. 코람데오 정신 회복하기
– 일관성 갖기 2. 똑똑한 아이 No! 신실한 아이 Yes!
5. 신앙교육의 내용 1. 복음, 내 아이는 죄의 문제와 직면했는가?
– 일고작기(一鼓作氣)
– 아이의 기본 값, 죄인
– 기본 값 청산, 회개
– 새로운 값 매기기, 꼬리표 떼기
6. 신앙교육의 내용 2. 내려놓기(말씀훈련 + 기도 훈련)
– 동심파괴(童心破壞)
– 내려놓기 훈련
– 하나님을 향한 내려놓기 1: 말씀 훈련
– 하나님을 향한 내려놓기 2: 기도 훈련
7. 신앙교육의 내용 3. 내려놓기(실수인정 + 미디어 훈련)
– 말보다 행동!
– 자녀를 향한 내려놓기: 실수 인정
– 자신을 향한 내려놓기 1: 시간 쓰기 훈련
– 자신을 향한 내려놓기 2: 미디어 훈련:
8. 신앙교육의 방법 1 당신의 메시지는? (하나님-메시지)
– 경천동지(驚天動地)
– 대화 아닌 대화
– 너-메시지(You-Message)로 길러진 나!
– 나-메시지(I-Message)가 좋다는 교육학자들
– 하나님-메시지(G-Message)가 필요한 때
9. 신앙교육의 방법 2 제자훈련 (신앙 코칭과 멘토링)
– 우선순위(優先順位)
– ‘하나님-메시지’를 넘어 ‘제자훈련’으로
– 제자 훈련의 두 가지 방법: 신앙 코칭과 신앙 멘토링
– 신앙 코칭
– 신앙 멘토링
– 내 삶이 곧 유언이다!
에필로그
“초보 부모 시절에 이런 책이 나왔다면, 나는 더 좋은 부모가 되어 내 자녀들을 더 잘 양육하였 을 것이다. 그래도 다행이다. 좋은 부모가 되기를 원하는 나의 자녀들에게 선물하고 싶은 책이 다. 이 책이 많은 독자들을 찾아가서 기독교 가정이 언약 공동체로서 단란하고 단단하여져 이 땅의 교회가 계속 건강하게 건재하도록 도울 것이다. ”
– 유해무 교수(고려신학대학원)
“저자는 자신이 자녀를 양육하면서 겪었던 다양한 이야기들을 기독교교육 전문가로서 체계적 으로 분석하여 자녀 신앙교육의 이슈와 그 대안들을 자세하고 실천적으로 독자들에게 제공해 준다. 본서는 자녀 신앙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원리가 무엇인지, 한국 교회와 기독교 가정에서 자녀 신앙 교육이 왜 실패했는지, 그렇다면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을 우리에게 제시하고 있다.”
– 함영주 교수(총신대학교)
Weight | 1.5 lb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