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 자신을 가꾸고 태아와의 안정된 애착을 위한 책
이 책은 ‘애착’과 ‘태교’가 주제이다. 태아의 성장에 따른 임신 기간 40주 동안 엄마와 아기와의 애착 관계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임신 초기부터 출산에 이르는 과정에서 엄마의 정서와 인지 그리고 필요한 활동들을 알기 쉽게 안내한다. 태교는 아기를 위한 심리와 활동이기도 하지만, 진정한 태교는 임산부의 안정감 있는 심리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는 저자는 임산부의 상태가 아기의 안정된 발달과 깊이 연관되어 있다고 말한다.
육아교육의 방향을 바꾸는 놀라운 메시지, 태내기 애착은 아이의 미래
육아교육의 질과 방향을 바꾸는 놀라운 메시지가 담긴 이 책은 엄마가 임신 기간에 아기와 어떻게 교감해야 하는지, 출산 후 엄마 아빠와의 애착 형성이 아기 성장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 수 있다.
태내기 애착은 출산 후 아기와의 관계의 거울이며, 엄마 자신이 아기에게는 세상에서 첫 선물이다. 뇌과학은 자궁에서 일어나는 태아와 엄마의 상호작용에서 엄마가 무엇을 먹고 어떤 감정과 생각을 주로 가지냐에 따라 태아의 뇌가 서로 다르게 발달한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다. 아기는 출산 후에도 뱃속에서 했던 대로 엄마와의 애착을 형성하려고 한다는 점에서 육아교육의 시작은 태내기부터인 것이다. 애착 이론에 근거한 저자의 상담 노하우를 포함하고 있다.
일생을 좌우하는 기본은 태내기부터 생후 3세에 이루어진다
임신 기간의 아기와의 안정 애착 형성은 육아로 이어지고, 행복한 가정을 이루는 첫 단추이다. 저자는 부모가 자녀의 소유주가 아닌 청지기 역할임을 인식해야 한다고 말한다. 아이에게 적절한 규칙과 통제, 위험이나 어려움에 노출되지 않도록 책임 있는 일관된 양육 환경을 통해 자유롭게 탐험하도록 도와야 한다는 것이다. 프로이드, 애들러, 에릭슨, 코헛 등 심리학자들은 유아기의 경험이 일생의 행복과 불행을 좌우한다고 했고, 특히 존 볼비와 메리 에인스워스의 애착 이론은 태내기부터 생후 3세까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 책의 집필 과정에 저자가 참고한 문헌과 도서 목록들은 상담가와 애착 연구자들에게는 훌륭한 자료이기도 하다.
출생 전이나 후나 미처 인지능력이 발달하지 않았는데 아기가 엄마에게 붙어 있으려는 본능적 애착 현상이 왜 중요할까요?
_24쪽 중에서
태내기는 뇌세포를 만들어 내는 기간일 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뇌기능이 완성되는 기간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외부의 자극에 놀라기도 하고 피부로 느끼기도 합니다.
_28쪽 중에서
아빠와 태아와의 애착 관계는 결혼생활 만족도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남편의 경우 좋은 부부관계는 결혼 생활의 만족감뿐만 아니라 태아와의 애착 형성에도 좋은 영향을 미칩니다.
_32쪽 중에서
부모의 태도와 감정을 경험하면서 부모를 모방하게 되고, 때로는 무의식적으로 강요받으면서 닮게 됩니다. 결국 부모의 심리 특성은 생리적으로도 유전되지만 심리적인 유전도 작용합니다.
_35쪽 중에서
태아의 존재나 태아가 보내는 신호를 무시하고, 태아에게 좋지 않은 환경에 임산부 자신을 노출시킨다거나 지나치게 태아만 집중하여 자신은 물론 남편까지 돌보지 못하고 방치한다면 올바른 태아애착 형성이 어렵습니다.
_38쪽 중에서
뇌과학은 자궁에서 일어나는 태아와 엄마의 상호작용에서 엄마가 무엇을 먹고 어떤 감정과 생각을 주로 가지냐에 따라 태아의 뇌가 서로 다르게 발달한다는 것을 증명하고 있으며, 고전적 의미의 태교와도 같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_46쪽 중에서
– 남자 태아의 경우 여자 태아보다 뇌 발달이 서서히 일어나기 때문에 스트레스의 영향이 더 클 수 있으므로 임산부는 스트레스가 만성화되거나 극심하지 않도록 특별히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_ 55쪽 중에서
부부의 건강한 성생활에서 오는 임산부의 혈액순환과 안정감, 그리고 엔돌핀 같은 내분비물질은 고스란히 태아에게 전해지면서 태아의 안정된 발달을 돕습니다.
_58쪽 중에서
임산부의 건강 상태 등으로 식생활이 좋지 않아 영양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임산부의 외부 환경과 태아가 느끼는 것은 반대여서 태아가 형성한 에너지 저장 전략이 오히려 해롭게 작용합니다.
_ 62쪽 중에서
감정을 조절하기 위한 엄마의 의도적인 노력은 태아에게 좋은 생각과 감정을 쌓는 마음을 만들어주는 후성유전의 실천입니다.
_67쪽 중에서
심리학의 안전기지는 영유아가 바깥 세상을 안전한 상태에서 흥미를 느끼고 자유롭게 탐험하도록 의존하는 안전한 대상을 의미합니다.
_74쪽 중에서
임신 중기 이후는 몸의 변화와 호르몬의 분비 등 다양한 이유로 활동성은 줄어드는 반면 감정과 그에 따른 생각은 활발한 특징이 있습니다.
_83쪽 중에서
완벽주의는 어린 시절 부모의 양육과도 관계가 있습니다. 변덕스럽고 감정 기복이 있는 부모가 아기를 양육할 경우 아기는 부모의 예측할 수 없는 양육 태도에서 어떤 모습이 진짜 부모인지 혼란스럽습니다.
_ 94쪽 중에서
출산 이후 아기가 엄마를 예측하도록 엄마 자신을 준비하는 시간이 바로 ‘임신기’입니다. _98쪽 중에서
낮은 자아존중감은 출산 이후 아기와의 애착 관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_102쪽 중에서
태아와의 교감에서 핵심 포인트는 엄마가 가진 행복을 태아와 ‘함께’ 나누는지에 달려 있습니다. 즉 엄마가 느끼는 기쁨, 즐거움, 보람, 사랑 등을 태아와 함께 느낄 때 교감이 이루어집니다.
_112쪽 중에서
임신 5개월이 지나면 아빠가 태아와 이야기를 나누거나 동화책을 읽어주는 것도 교감 활동입니다. 태아의 감각 기관 중 청각은 임신 5개월이면 성인 수준에 도달합니다.
_115쪽 중에서
임신이 되면 임산부의 몸에 다양한 호르몬의 변화가 일어나는데 이 변화는 태아가 출생할 때까지 임신 과정을 주도하거나 보조하면서 태내 환경을 꾸미고 출산을 준비하는 등의 역할을 합니다.
_138쪽 중에서
임산부의 분노가 태아의 수면 패턴을 방해하여 출산 이후 태아의 수면을 불안정하게 만든다고 합니다.
_150쪽 중에서
태아에게 공급되는 포도당의 양이 줄어들어 혈당이 떨어지고, 포도당의 감소를 느끼는 태아의 뇌는 결국 출산 준비를 위한 신호를 엄마에게 보내어 출산 준비를 유도합니다.
_178쪽 중에서
출산 후의 또 다른 주요한 환경 변화는 부부 중심에서 아기 중심으로 바뀐다는 데 있습니다. 아기를 위한 공간 마련뿐만 아니라 수유 및 양육을 위한 소소한 일들이 많기 때문에 부모의 손길이 많이 필요하게 됩니다.
_189쪽 중에서
코메니우스의 자녀관은 성서가 말하는 자녀에 대한 시각을 반영한 것으로 부모가 자녀의 소유주가 아니라 자녀를 잘 양육해야 할 책임 있는 청지기 역할을 해야 할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_195쪽 중에서
Part 1 애착
017 임신 1주 임신, 부부의 반응이 다르다
020 임신 2주 입덧, 태아의 소통 신호
023 임신 3주 애착, 관계의 첫 단추
027 임신 4주 애착의 네 가지 유형
031 임신 5주 아빠와 태아는 어떻게 관계 맺나?
034 임신 6주 엄마의 심리는 유전된다
037 임신 7주 애착 형성하기
Part 2 태아 환경
045 임신 8주 진정한 태교
047 임신 9주 태아를 위한 절제: 금주
050 임신 10주 태아를 위한 절제: 흡연
053 임신 11주 스트레스 다스리기
057 임신 12주 부부 친밀감
060 임신 13주 태내기는 프로그래밍 시간
063 임신 14주 마음 환경, 태아에게 전달된다
Part 3 엄마의 마음 준비
073 임신 15주 태아의 안전기지, 엄마
077 임신 16주 임산부의 Here & Now
081 임신 17주 생각 다루기
086 임신 18주 메타인지 활용하기
091 임신 19주 극복해야 할 완벽주의
096 임신 20주 예측 가능한 엄마가 좋아!
100 임신 21주 자아존중감
Part 4 교감
109 임신 22주 엄마가 교감하는 태아
113 임신 23주 아빠가 교감하는 태아
116 임신 24주 부부 교감이 태아 교감이다
120 임신 25주 태아는 자궁 속 교감을 기억할까?
123 임신 26주 교감과 태아의 뇌 발달
Part 5 심리 변화
133 임신 27주 안정애착을 위한 감정 다루기
137 임신 28주 호르몬과의 전쟁
142 임신 29주 우울증
149 임신 30주 분노 대처하기
155 임신 31주 불안감, 초조함에 대하여
162 임신 32주 임산부 강박 증세
168 임신 33주 안정 애착을 위한 균형
Part 6 출산 코칭
177 임신 34주 출산, 태아가 만드는 기적
181 임신 35주 출산을 위한 핵심
186 임신 36주 출산 이후 환경 변화를 위한 준비
193 임신 37주 행복한 가정의 토양 만들기
198 임신 38주 부부, 안전기지이자 은신처
201 임신 39주 한 살의 마음세계
206 임신 40주 안전기지 엄마 되기
부록
1. 나의 애착 유형 확인해 보기
2. 태아-산모 애착 테스트
3. 임신기 우울증 테스트
태아와 엄마 사이에 일어나는 친밀한 상호작용으로 둘 사이의 특별한 애정적 관계, 즉 모태 애착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따라서 태아 애착에 대한 심리적 분석과 코칭은 귀중하고 훌륭한 엄마가 되기 위한 필수적 요소입니다. 이 책을 통하여 아주 큰 해답을 얻을 것을 믿습니다.
– 윤방부_연세대 명예교수, 의학박사
– 미국 리버티 대학교 목회상담학 초빙교수
– 침례신학대학교 상담심리학 초빙교수
– 하이패밀리 상담심리학 초빙교수
– 온라인 기반 상담코칭 소프트웨어 개발
– 카운메이트 인터내셔널 온라인 심리코칭센터 운영
– www.counmate.net
Weight | 1 lb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