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시형 박사가 극찬한 책
마음을 들여다보는 자기계발서
30대 성공지상주의자 ‘휴'(休)
그가 누린 마음의 평안과 자유로의 여행
사람들은 모두 자기분석을 하면서 살고 있다.
자신을 깊이 이해할수록 인간은 편하고 자유로워진다.
그대로의 자기를 누리는 기쁨, ’30년만의 휴식’을 경험해 보자.
그대로의 자기를 누리는 기쁨
지난 30년간 나는 정신과 의사로서 마음이 아픈 사람들을
도우며 살아 왔다. 그들 중에 성공한 ‘일벌레’ 선 박사가 있었다.
대학교수인 선 박사는 어느 날 작은 말 실수 때문에 강의 공포증에
빠졌고 분석을 통해 치료되었다. 강의를 다시 하게 되던 날 그녀는
기쁨에 들떠 “참 신기해요. 안정제를 먹은 것도 아닌데 어떻게
불안이 사라졌을까요?” 라고 감탄했다.나에게 인상적이었던 것은
여름휴가를 다녀 온 선 박사가 들려 준 이야기 였다.
“바닷가로 휴가를 갔었어요. 저녁을 먹고 남편, 아들과 함께
바닷가에 나갔지요. 모래사장 위에 의자를 놓고 앉아서 하늘을
보았어요. 바닷가의 별은 많기도 했고 서울 하늘에서와는 달리
유난히도 빛이 났습니다. 모래사장 위를 뛰노는 아들과 남편의
웃음소리, 그리고 밀려오는 파도 소리를 들으며 문득’아, 이것이
휴식이구나!’ 하는 생각을 했지요. 바닷가에서 보낸 시간은 채
30분이 못 되었지만 나는 30여 평생 처음으로 휴식을 누린 것
같았어요. 눈물이 날 것 같았지요. 그러고 보니까 평소와 달리
휴가를 오면서 노트북도 가지고 오지 않았더라고요.”
내가 이 책을 쓰게 된 것은 선 박사 때문이었다. 세상에는 일벌레
선 박사가 많다. 돈과 지위와 인기를 얻으면 만족이 있을 것으로
알고 숨차게 뛰고 또 뛰는 ‘또 다른 선 박사들’ 말이다.
그러나 천신만고 끝에 지위가 높아지고 인기를 얻어 보아도
만족은 없고 마음이 공허한 ‘선 박사들’ 이 많다.
외부적으로는 성공했으나 내면적으로 행복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1. 성공챘지만 성공하지 못한 ‘휴’ 이야기..25
사람이 사람에게 약이다/우리를 지배하는 것은 보이지 않는 내면이다/유능한 트러블 메이커, 휴/휴에겐 며칠간 무슨 일이 있었을까?/휴가 달라졌다/휴에게 찾아온 여섯 가지 변화
/누구나 휴처럼 신비로운 체험을 할 수 있다
2. 우리 안에도 어린 ‘휴’가 있다..97
– 내 안의 어린아이 극복하기
WHERE ARE YOU?/성난 아이/질투하는 아이/의존적인 아이/열등감에 사로잡힌 아이/의심 많은 아이/잘난 체하는 아이/조급한 아이/외로움에 시달리는 아이/두 얼굴을 가진 아이
3. 세상의 ‘휴’들에게..169
– 어떻게 마음의 짐을 벗고 자유로워질 수 있는가
휴, 에너지가 넘치게 되다/나를 만드는 관계/엄마는 아이에게 온 세상이다/세상에서 제일 좋은 부모 되기/엄마를 대신할 수 있는 사람들/인생의 선물,배우자/절대자 하나님과의 관계/안심하라 나만의 문제가 아니라 인간의 문제다/1단계:마음이 나에게 말을 건다/2단계:사실 나도 나를 잘 모른다/3단계:현실을 인정할 때 오는 평화로움/4단계:좋아도 내가 좋아하고 미워도 내가 미워한다/5단계:”당신이 세상에서 제일 예뻐요”/6단계:내가 해결의 열쇠를 쥐고 있다
에필로그
정신분석의 전문가인 저자는 인간의 정신세계 이야기를 실례를 바탕으로 쉽고 재미있게 풀어 나가며 인간관계의 중요성을 다시금 생각하게 한다. CEO가 하는 가장 중요한 일은 인간경영이라고들 한다. 5분 단위로 시간을 쪼개어 바쁘게 많은 일을 하는 CEO가 아니라 ‘왜’, ‘어떻게’를 생각하며 시간의 여유를 갖는 인간경영의 CEO가 되는 데 이 책이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이용경 (KT 경영고문) –
우리는 늘 불만이 많습니다. 불만의 원인은 보통 ‘나의 밖’에 있습니다. 사회가, 제도가, 사람들이 잘못돼서 그렇다고 탓을 합니다. 이런 생각을 하는 한 우리의 불만은 해결되지 않습니다. ‘나의 밖’은 언제나 변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게 인류의 역사입니다. 그러나 내가 변하면 ‘나의 밖’도 달라집니다. 나의 눈이 변하면 ‘나의 밖’도 다르게 보일 수밖에 없습니다. 정신분석학자 이무석 교수는 ‘달라진 나’를 찾아가는 길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 문창극 (중앙일보 주필) –
똑같은 일을 당해도 사람마다 반응이 다르다. 절망하고 좌절하는 사람도 있고 툭툭 털고 일어나는 사람도 있다. 이 책의 저자는 이런 반응은 의지력과는 상관이 없는 성격의 문제로 성장 과정의 경험 가운데 만들어진 ‘마음속의 아이’가 원인이라고 한다. 충분히 사랑받지 못하고 인정받지 못해 만들어진 아이가 우리의 무의식에 살면서 우리를 성숙한 인간이 되지 못하게 막고 있다는 것이다. 이 책은 이 마음속의 아이를 이해하고 이 아이로부터 해방되어 마음의 평안을 누리며, 다른 사람과도 행복한 관계를 맺는 길을 제시하고 있다.
– 김영애 (한동대 이야기 <갈대상자> 저자) –
이 책은 休머니즘에 대한 책이다. 더 전진하기 위하여 더 행복하기 위하여 내려놓음과 되돌아봄과 배려에 대한 깊은 이해를 하게 되는 여행과 같은 책이다.
– 지승룡 (민들레영토 대표) –
Weight | 0.8 lb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