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바이러스 유행 초기에 <타임>지의 요청으로 기고한 글을 수정, 보완, 확장하여 낸 책. 지금과 같은 팬데믹 상황에서 성경적이고 지혜로운 처신은 어떤 것인지를 찾기 위해 역사 속으로, 성경 속으로 한 걸음 더 들어가려는 시도이다. 코로나 바이러스가 불러일으킨 질문들에 대해 손쉬운 ‘해결책’을 제시한다거나, 우리가 거기서 얻을 수 있는 교훈이나 지금 당장 할 수 있는 일을 완벽하게 분석하려는 시도보다는 먼저 애통하고 자제하는 시간을 갖자고 제안한다. 그리고 성경과 기독교 역사를 주의 깊게 살펴봄으로써 어떻게 ‘새로운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는지를 모색한다.
[출판사 리뷰]
성경과 기독교 역사에서 찾은
코로나 바이러스에 반응하는 다른 방식
코로나 바이러스가 몰고 온 이 위기를 어떻게 봐야 하는가? 어떤 이들은 “이것은 세상 종말의 징후이다, 계시록에 이미 예언된 것이다”라고 생각한다. 어떤 이들은 “이것은 회개로의 부르심이다. 하나님은 세상을 심판하고 계시며, 이 병을 통해 우리에게 변화되라고 말씀하신다”라고 생각한다. 또 어떤 이들은 이러한 비난과 비판에 동참하면서 “이것은 중국의 잘못이다, 정부의 잘못이다, WHO의 대응이 문제였다”고 말하기도 한다.
톰 라이트는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한 이러한 반응들을 검토한 후 성경과 기독교 역사를 주의 깊게 읽으면 다음과 같은 많은 질문에 간단하지만 심오한 답변을 얻을 수 있다고 본다.
– 그리스도인의 반응은 어떠해야 하는가?
– 하나님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가?
– 이제 어떻게 현재를 살아야 하는가?
– 왜 이 상황에서 애도해야 하는가?
– 이 혼란 가운데 교회의 소명은 무엇인가?
– 어떻게 회복할 수 있는가?
그것은 틀림없는 1세기의 문제지만, 1세기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우리도 곰곰이 생각해 보아야 할 문제다. “코로나 바이러스가 유행하는데 하나님은 무얼 하고 계시는가”에 대한 많은 이야기가 하나님의 ‘주권’을 전제하고, 그 ‘주권’이 무슨 뜻인지 추정한다. 하지만 예수님은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다른 의미를 드러내고 계셨다. 나병 환자를 고치거나 회개하는 여인에게 자신의 권위로 죄 사함을 선포하시며 그분은 ‘그건 이런 뜻이다’라고 말씀하고 계셨다. 격에 맞지 않는 사람들과 어울려 잔치를 벌이시면서 ‘그건 이런 뜻이다’라고 말씀하고 계셨다. 마지막으로 예루살렘에 올라가서 하나님의 평화의 길을 거부한 그 도성과 체제와 성전에 임할 하나님의 최종 심판을 엄숙히 선언하시면서 ‘그건 이런 뜻이다’라고 말씀하고 계셨다. 친구들과의 마지막 밤에 떡을 떼시면서 ‘그건 이런 뜻이다’라고 말씀하셨다. 머리 위에 “유대인의 왕”이라는 죄패를 붙인 채 십자가에 달려서 ‘그건 이런 뜻이다’라고 말씀하셨다. pp.47-48
국가 조직이 온전히 살아 있는 인간의 현명한 상호 작용이라기보다는 기계인 것처럼, 순전히 실용적인 관점에서 이 모든 일에 접근한다면, 그 결과는 뻔하다. 약한 사람들은 또 실패할 것이다. 그들은 대개 그렇다. 2008년 경제 위기 이후에, 공적 긴급 구제 기금을 받은 은행과 거대 기업들은 재빨리 예전 방식으로 돌아간 반면, 영국의 극빈층은 더 가난해져서 그 상태로 남았다. 누군가는 일어서서 경고문이 아니라, 시편 72편을 읽어야 한다. 이 시는 교회가 말만이 아니라 실제적인 제안으로 분명히 표현해야 할 우선순위 목록이다. p.127
Weight | 1 lb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