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의 저자는 기독교 근본주의자들의 행태를 “권위주의적 종교”의 전형적인 특징으로 보고 이를 “종교 중독”이라는 종교 병리적 문제로 파악한다. 또한 그는 한국 기독교 내 배타적인 사회운동들을 “기독교 파시즘”과의 연관성 속에서 비판한다. 이를 통해 저자는 그리스도인이 공적 영역에 참여할 때 필요한 윤리적 가치를 “정치적 디아코니아”(political diakonia)라는 개념을 통해 제시한다.
제1부에서는 기독교 근본주의와 기독교 파시즘의 기반이 되는 권위주의적 종교의 특징을 살펴본다. 권위주의적 종교는 인간에 대한 통제력에 집착하며 추종자에 대한 억압을 통해 작동한다. “권위주의”와 “차별 기제”는 권위주의적 종교의 대표적인 특징이다. 이 책은 기독교 근본주의와 기독교 파시즘에 대한 비판의 출발점으로서 권위주의와 차별 기제를 정치신학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권위주의에 물든 기독교 근본주의자는 카리스마적 권위를 표출하는 종교 지도자(혹은 집단)에 쉽게 매력을 느끼기에 종교 중독에 빠질 가능성이 높고 더욱 강력한 권위를 추종하는 경향을 보이기에 “정치적 종교”로서 파시즘에 거부감을 느끼지 않는다.
제2부에서는 권위주의적 종교와의 연관성 속에서 종교 중독의 문제를 다룬다. 저자는 종교 중독의 문제가 일부 사교 집단이나 기독교 사이비 집단뿐 아니라 급격한 양적 성장으로 이루어진 한국 개신교 전반에 광범위하게 퍼져 있음을 강조한다.
제3부에서는 종교 중독과의 연관성 속에서 기독교 근본주의를 다룬다. 여기서 저자는 미국의 근본주의에 대한 기존의 연구와 군사 독재 이데올로기와 결합된 한국의 기독교 근본주의의 특성을 자세히 살펴본다. 나아가 기독교 근본주의가 분단 의식의 고착화에 미친 부정적 영향을 신랄하게 비판한다.
제4부에서는 기독교 파시즘을 파헤친다. 저자는 20세기 기독교와 파시즘의 밀접한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유사 종교와 같이 변질된 기독교 파시즘이 교회의 몰락뿐 아니라 시민사회의 파멸을 가져왔다는 점을 강조한다. 제5부에서는 그리스도인이 정치적 영역에 참여할 때 윤리적 가치를 정립하는 데 필요한 신학적 기반으로 정치적 디아코니아라는 개념을 제시한다. 저자는 권위주의와 차별 기제에 물든 한국교회의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기독교적 가치가 “(사회적) 섬김’, 즉 ”디아코니아“임을 강조하고 정치적 영역에서의 그 의미를 짚어본다.
이 책은 10년간의 독일 유학 생활을 마치고 귀국한 저자가 지난 5년 동안의 한국 사회와 한국교회의 변화를 정치신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그 원인을 파헤친 결과물이다. 기존의 일반적인 신학 서적과 달리 다양한 사회과학적 연구와 방법론을 통해 한국교회의 문제를 신랄하게 비판하고 있다. 하지만 현실에 대한 냉철한 시각에도 한국교회의 파국을 막기 위한 개혁의 필요성에 대한 저자의 절실함이 문장 곳곳에서 담겨 있다. 그럼에도 서문에서 저자가 밝힌 바와 같이 이 책은 몰락하고 있는 한국교회 내 구체제를 위한 대안이기보다 아직 도래하지 않는 새로운 체제를 위한 주춧돌을 놓기 위한 시도임이 분명하다.
한국교회 내 종교 중독의 문제가 심각함에도 그동안 종교중독은 그리 주목받는 주제가 아니다. 이는 한국 사회가 심각한 알코올중독 문제를 안고 있음에도 음주에 관용적인 문화로 인해 그 심각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것처럼 한국교회 내 종교 병리적 현상이 일상화되면서 종교 중독의 심각성이 제대로 인식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중독이 노동의 가치를 왜곡하는 것처럼 종교 중독은 종교의 가치를 왜곡한다. 따라서 코로나19 팬데믹 사태로 인해 위기에 직면한 한국교회의 진정한 회복을 추구하는 그리스도인이라면 한국교회 내 종교 중독의 문제를 보다 진지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_제2부 종교 중독 중에서
초기 기독교 근본주의의 분리주의는 외부의 타자를 배척하는 방식으로 작동하지만 권력이나 헤게모니를 획득한 기독교 근본주의는 전근대적인 종교적 전통들을 비그리스도인들에게도 강요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군사 독재 초기에 기독교 근본주의자들은 성속이원론에 기반하여 정치와 종교의 엄격한 분리를 주장했었다.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군사 독재에 협력함으로써 사회적 헤게모니에 다가갈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이후 군사 독재가 길어지자 사회 병리적 현상이 나타나면서 한국 사회가 폐쇄적으로 변했고 기독교 근본주의는 사회적 주류 세력으로 자리 잡았다. 기독교 근본주의자들은 군사 독재 세력과 결탁했고 개발 독재 이데올로기를 종교적으로 정당화했다.
_제3부 제1장 기독교 근본주의의 문제 중에서
기독교 파시즘은 기독교 근본주의와 파시즘이 결합한 결과물이다. 파시즘과 기독교 근본주의는 근대성에 대한 부정이라는 특징을 공유하고 있으므로 쉽게 결탁한다. 기독교 근본주의자들이 파시스트 운동에 참여하여 그 운동에 종교적 정당성을 부여할 때 기독교 파시즘이 탄생한다. 고전적 파시즘은 종교적 이데올로기와 쉽게 결합했다. 흔히 종교적 파시즘이라 불리는 이데올로기는 1920년대 무솔리니와 파시스트 운동을 지지했던 교권 파시즘(clerico-fascism)에서 오늘날 이슬람 원리주의까지 다양하다. 종교적 파시스트들은 “특정한 종교가 공적인 삶에 철저히 침투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종교가 공적 영역을 마음대로 지배하도록 허용”한다.
_제4부 제1장 파시즘의 이해 중에서
“정치적 디아코니아”(political diakonia)는 디아코니아 사역의 정치적 측면을 표현한 것이다. 다시 말해 정치적 디아코니아는 “공공 영역에서 정치적 문제를 의식적으로 반영하고 표현하려는 디아코니아적 행위”다. 정치적 디아코니아는 불의와 그 근본 원인을 고발할 뿐 아니라 변화가 필요한 사회를 위한 지침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태도나 행위를 훈련하고 연습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긴다. 하지만 정치적 디아코니아는 사회와 환경을 파괴하는 결과를 낳기보다는 누룩이 되어 생명을 위한 대안적인 길을 찾는 증인으로서 교회의 임무에 집중한다.
_제5부 제2장 정치적 디아코니아 중에서
제1부 권위주의와 차별
제1장 권위주의의 문제
제2장 권위주의적 사회와 차별 기제
제2부 종교 중독
제1장 종교 중독의 이해
제2장 한국교회 내 종교 중독의 문제
제3부 기독교 근본주의
제1장 기독교 근본주의의 문제
제2장 기독교 근본주의와 분단 의식
제4부 기독교 파시즘
제1장 파시즘의 이해
제2장 현대 사회와 기독교 파시즘
제5부 정치와 디아코니아
제1장 그리스도인의 정치 참여
제2장 정치적 디아코니아
참고문헌
Weight | 1 lb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