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Missional Narratives o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저자는 초기 선교사로서 한국 선교가 이제는 질적 성장을 위해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해 왔다. 선교의 목적은 초문화권 상황에서 복음에 대한 이해력을 도와 현지인들이 복음을 깨닫고 회개가 이루어져 하나님 나라가 확장되어 가는 것이다. 이러한 개인과 지역의 복음화를 꿈꾸는 한국 선교사들은 이제 선교의 질적 성장을 위해서 전략적 접근, 전략적 개발을 위해 실제적인 초문화권 커뮤니케이션 원리를 배워야 할 때가 되었다.
이번 책을 통해, 저자는 개척 선교 현장에서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통한 현지인들의 만남과 지도력을 형성하는 과정을 소개함으로써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도구로 하여 현장에서 만들어낸 전략이 어떠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지 잘 보여 주고 있다. 따라서 어느 상황 속에서도 이 전략은 필요하고 또 잘만 사용한다면 성공적인 사역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모델을 저자 본인의 선교 사역 경험을 통해 제시해 주고 있다.
즉, 정글 속에서의 사역은 초문화권 중에 초문화권으로 커뮤니케이션의 기술을 습득하지 않으면 사역의 결과를 낼 수 없다. 그러므로 확실한 소통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원리는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현장에서 소통의 길을 찾아보는 것이다. 이론과 실제가 만나면 확실하고 분명한 소통의 길을 열어 줄 수 있고, 이러한 이론과 실제는 두려워만 했던 정글 선교가 풍성한 열매의 현장으로 바뀔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 주었다.
이 책은 그 내용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이론보다 실제를 더욱 강조한 이야기(story)를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다. 그러면서 우리가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은 메신저(발신자)로서 청중들을 위해 어떻게 현장 문화와 상황을 고려하면서, 어떤 방법으로 메시지를 준비하고 제시할 것인가를, 커뮤니케이션 이론의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말로 잘 정리해 주고 있다.
‘커뮤니케이션’이라는 말은 라틴어의 “communis’”로 “나누다, 공유하다” 또는 “전달하다, 전하다”라는 말인데 복음 전파의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는 중요한 단어이다. 특별히 코드(code)를 “공유” 또는 “상호 반응”한다는 말인데 이는 “함께”란 말과 “나누는 것”의 합성어이다. 그렇다면 커뮤니케이션이란 말은 “의사소통의 참여자인 발신자(speaker)와 수신자(receiver)가 서로 메시지를 주고받는 것”이다.
선교 커뮤니케이션의 핵심은 역시 전도자가 준비한 메시지(하나님의 말씀)를 상대방, 수신자가 이해할 수 있도록 전달하는 최선의 방법을 찾는 것이다. 커뮤니케이션 과정의 참여자로서 전달하는 자가 있는가 하면 전달받는 자, 즉 수신자가 존재해야 한다. 그리고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message)이 있어야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진다. 내용물을 담는 용기로서의 미디어가 있어야 하고, 메시지를 받는 사람의 반응을 점검할 수 있는 피드백(feedback) 시스템이 만들어져야 한다. 커뮤니케이션은 대상이 있어야 하는데 그것은 인간과 인간의 소통, 인간과 하나님과의 소통, 그리고 제한되기는 해도 동물과의 약간의 소통이 가능하기도 하다. 전달 수단은 다양하여 느끼는 것으로, 듣는 것으로, 만지는 것으로, 맛으로, 냄새 맡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형태(form), 즉 언어, 제스처, 춤, 드라마, 음악, 예술, 미술 등으로 표현되기도 하고 대중 전달로 표현되기도 한다. 메시지가 한 곳에서 한 곳으로 흘러가는 것을 말하는 데 그것을 전달(transmission)이라고 부른다.
_ 63-64p
당시 가장 중요한 질문은 “예수가 누구인가?”와 “예수교는 유대교의 분 파인가?” 하는 질문이 해결되어야 한다. 그 일로 인하여 바울과 제자들은 회당에서 쫓겨났지만 그 자체가 제자들에게는 주님을 바로 알게 하는 중요한 교육이었다. 그 후 두란노서원에서 본격적인 그리고 형태를 갖춘 교육이 진행되었는데 “날마다” 강연이 이루어졌고, 2년이라는 기간에 이수해야 하는 교육과정이 이루어졌다. 저들이 가는 곳에서 복음이 전파되어 아시아(터키)에 사는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방인)이 다 복음을 들었다는 것을 보면 저들의 교육 프로그램에는 실습이 병행되었다는 것을 확인해 주고 있다.
정리해 보면 바울의 선교 교육은 영성 교육과 함께 신학 교육이 이루어졌고, 실습을 동반한 교육을 통해서 이론뿐만이 아니라 삶의 변화와 선교적 사명감을 실천하는 교육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초대교회 교육 모델은 현대 교회가 꼭 따라야 할 모델이다.
_ 162p
메시지는 복음의 핵심을 말하며 그 의미가 청중에게 정확하게 전달되어야 메시지가 메시지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 메시지를 준비하는 발신자는 의도하고자 하는 내용을 분명히 파악해야 하고, 그 책임을 지기 위해서 성경 연구와 신학적 고찰 등 다양한 방법과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계속해서 강조하게 된다. 전달자는 신학 공부는 물론이요 지속적인 말씀 연구를 위해서 진리의 영이신 성령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예수님께서 제자들을 잘 훈련시키셨지만 육신을 입으신 주님은 시간과 공간의 제한성을 가지셨기에 하나님이 제공하신 시간인 3년이란 기간 동안 꾸준히 제자들을 스케줄에 따라 훈련을 시키시고 떠나실 때가 가까우신 때에 그들의 교육 수준을 고려했을 때 완숙한 교육은 지속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고 계셨다.
주님을 따라다녔던 제자들은 인류의 구원을 위한 하나님의 계획은 십자가를 지시는 것인데, 모든 유대인들이 그랬듯이 제자들도 십자가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다. 예수님의 가르침에도 불구하고 저들의 이해 부족으로 주님이 십자가를 지셨을 때 주님을 떠나는 모습을 보게 된다.
_ 238p
1장 복음의 메아리
1. 정글 속에서 23
2 말씀이 울려 퍼질 때 42
3. 확실한 복음 소통 전략 61
2장 복음의 메신저
1. 사람과 함께 일하시는 하나님 83
2. 필수적 훈련 과정 105
3. 메신저의 동역 정신 131
4. 민족을 초월한 팀워크 141
3장 복음의 메시지
1. 아름다운 소식 155
2. 메시지 전달 과정 167
3. 눈물로 뿌리는 씨 188
4. 메시지 전달의 장애물들 208
4장 복음의 수신자
1. 누구든지 주의 이름을 부르면 219
2. 청중 제일 주의 230
3. 청중에서 동역자로 242
4. 사랑으로 소통하는 복음 258
5. 결단의 단계 265
5장 복음의 밭
1. 청중의 이해를 돕는 상황화 279
2. 말씀 해석의 상황화 287
3. 선교사 삶의 상황화 302
4. 문화적 상황화 321
5. 리더십의 상황화 333
6장 복음의 방해물들
1. 영적 전쟁의 현장 341
2. 가난과의 싸움 352
3. 세속화와의 싸움 362
나가는 말: 서부 칼리만탄 선교를 맺으면서 _369
동료 이은무 선교사님의 진솔한 초창기의 이야기들과 선교에 대한 휘튼 대학교에서의 연구 내용을 중심으로 오랫동안 쌓아 올린 선교의 다양한 경험들이 어우러진 귀한 이 책을 집필하시고 출판하시게 됨을 축하하며 선교 후보생은 물론 오랜 경험을 하신 선교 동역자들과 선교학 교수들, 각 교회 선교위원회 임원들과 후원자들에게 좋은 경험과 선교를 바로 이해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될 줄 알고 강력하게 추천합니다.
_ 김정웅 박사 l 태국 선교사, 촌부리 선교센터 대표
Weight | 1 lb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