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00 $28.00
디사이플러는 성령님의 인도하심에 지속적으로 순종하고 이 일에 헌신적인 자세를 보이는 영적 특징을 개발해야 한다. 이를 통해 디사이플러는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교차 문화의 학습자인 리더들(cross-cultural learnerleaders)과 ‘관계를 맺는 일’을 더 잘할 수 있다. 제2장은 디사이플러 모델의 원에 대해 다루고 있는데 이 원은 디사이플러로서의 성령님을 나타낸다. 디사이플러 모델의 원에 이어서 우리는 예수님이 기도, 사회적 위치, 우선순위를 통해 몸소 보여 주신 영적 특징이 어떠했는지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우리는 영적 특징을 개발시키는 방법들에 대해 제안할 것이다. 영적 특징은 성령님이 자유롭게 인도하시고 일하실 수 있도록 해 그가 이루고자 하시는 목적을 우리를 통해 성취하실 수 있도록 할 것이다.
p.48
우리는 삶과 사역 가운데 성경을 소유하기로 마음을 먹었다. 그럼 이제 무엇을 해야 할까? 바로 우리는 성경으로부터 배워야 한다. 배운다는 것은 개념이나 내용을 아는 것 이상을 의미한다. 우리는 가치나 태도와 관련된 것들을 배울 수 있지만, 이보다도 성경이 말하고, 성경이 가르치는 것을 배울 수 있어야 한다. 이것은 성경적 특징을 습득하고 유지하는 데 가장 까다로운 부분이 아닐 수 없다. 모두가 알다시피 교회는 성경을 가르치는 일에 매우 능숙하다. 우리는 이것을 이천 년 동안이나 실천해 왔다. 문제는 자주 교회가 성경이 가르치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을 가르치고 있고 우리는 이것을 배우고 있다는 사실이다.
p.128
실로 바울은 최고의 교사였고 효과적인 교차 문화 디사이플러였다. 그는 사람들이 다른 방식으로 학습을 하게 된다는 것을 확실히 알고 있었음에 틀림없다. 그는 다양한 접근 방법을 활용했다. 그가 말한 바와 같이 그는 그들의 구원을 위한 복음을 효과적으로 전하기 위해 “여러 사람에게 여러 모습이”(고전 9:22) 됐다. 바울은 교사의 트라이어드를 잘 이해하고 있었다.
p.235
김 덕 영 박사 _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선교영어학과 교수
이 대 헌 박사 _ 미래문화연구원 원장, 주안대학원대학교 겸임교수
전 석 재 박사 _ 서울기독대학교 선교학 교수, 전(前) 한국선교신학회 회장
알버트 에만(Albert Ehmann) 박사 외 6명
교육학자의 머리말 14
선교학자의 머리말 18
저자 서문 22
감사의 말 28
제1장 교차 문화 내 제자 삼기에 대한 서론 29
1. 디사이플러 모델 32
2. 크리스천 교사의 트라이어드(세 개의 원이 하나를 이룸):
하나님의 디자인에 대한 고찰 37
3. 기법보다 더 중요한 특징이 갖는 필수적인 역할 42
제2장 영적 특징 개발하기 48
1. 원: 디사이플러로서의 성령님 53
2. 예수님이 보여 주신 영적 특징 56
3. 영적 특징과 크리스천 교사의 트라이어드 66
4. 조지가 겪은 문제에 대한 변화 81
5. 이번 장에 대한 마이크의 생각 84
제3장 성경적 특징 개발하기 88
1. 디사이플러 특징 부재 시에 나타나는 결과 89
2. 좌편 주춧돌: 하나님의 영원한 말씀인 성경 90
3. 작업 지침서 96
4. 성경적 특징을 습득하고 유지시키는 법 126
5. 성경적 특징 및 교사의 트라이어드 134
6. 이번 장에 대한 릭의 생각 142
제4장 이성적 특징 개발하기 145
1. 좌편 기둥: 사람들이 생각할 수 있도록 돕기 150
2. 장 피아제의 통찰 165
3. 예수님과 이성 179
4. 피아제의 통찰 다시 살피기 187
5. 이번 장에 대한 마이크의 생각 206
제5장 긍휼의 특징 개발하기 209
1. 우편 주춧돌: 사람들의 필요 212
2. 긍휼의 진짜 의미? 215
3. 예수님이 보여 주신 긍휼의 특징 221
4. 긍휼의 특징을 개발하고 유지하는 법 226
5. 교사의 트라이어드 235
6. 이번 장에 대한 릭의 생각 240
제6장 열정의 특징 개발하기 246
1. 우편 기둥: 진짜가 되도록 사람들 돕기 249
2. 열정과 고난까지 감당하고자 하는 넘치는 열정의 특징 255
3. 열정의 특징 개발 및 유지 268
4. 열정의 특징과 교사의 트라이어드 277
5. 이번 장에 대한 릭의 생각 279
제7장 관계적 특징 개발하기 285
1. 중앙 기둥: 사람들이 관계를 맺도록 돕기 290
2. 예수님의 관계적 특징 305
3. 관계적 특징을 개발하는 방법 334
4. 이번 장에 대한 마이크의 생각 344
제8장 성숙의 특징 개발하기 349
1. 머릿돌: 사람들이 주님 안에서 성장하도록 돕기 351
2. 성숙한 하나님 나라의 성장 357
3. 성숙의 특징 스데반 그리고 디사이플러 모델 379
4. 이번 장에 대한 릭의 생각 387
제9장 경건의 능력: 제자를 삼는 사역의 시너지 효과 391
1. 우리의 모델 되시는 예수님 394
2. 불균형의 근원 398
3. 통합에 이르는 데 도움을 주는 질문들 415
4. 리더로서의 디사이플러 베드로의 고찰 419
부록 1 문화 차이에 대한 이해 429
부록 2 제프 릿치 박사가 경험한 사례들 442
본서의 시의적절함은 신앙과 영성에 대한 이원론적 함정에 빠져 복음 전도(선교)를 영혼 구원이라는 일회적 사건으로 이해하는 경향이 강한 한국교회를 자극해, 선교의 본질이 지난한 과정을 요구하는 제자 삼기에 있다는 점을 일깨운다.
– 이 대 헌 박사 _ 미래문화연구원 원장, 주안대학원대학교 겸임교수
선교사의 본국과 선교지의 교차 문화에서 제자를 삼는 사역을 위한 성경적, 이론적 기초를 제공해 주고 있다. 교차 문화권에서의 제자 삼기에 대한 이론적 배경뿐만 아니라 실제적인 사례와 실천을 연결하는 방법도 제공한다.
– 전 석 재 박사 _ 서울기독대학교 선교학 교수, 전(前) 한국선교신학회 회장
Weight | 2 lb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