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00 $19.60
한국교회의 인도 선교 역사는 1980년-1990년을 교단 파송 중심의 초기 선교의 시기를 제1기, 1990-2000년을 파송교회의 선교역량의 확대와 선교사 개인의 헌신이 강조되는 중간기를 제2기, 그리고 2000년대 이후를 사역 전문화 내지 특성화 그리고 선교사의 수적 증가가 두드러진 제3기로 구분한다.
p. 119
인도 선교를 처음 시작한 한국의 교단은 기독교대한성결교회이다. 기성은 지난 1977년 교단 창립 70주년 총회의 결의에 따라 1978년 4월 17일에 해외선교위원회가 조직되고 인도 선교를 시작했다. 해외 선교는 하나님의 부르심이며 전통적으로 기성은 복음증거의 사명 위에서 출발되었음을 인식하여 해외 선교 주역이 되어야 한다는 취지로 시작되었다.
p. 147
에즈라 살구남 목사는 인도성결교회의 비전을 다음과 같이 세운다.
“인도성결교회의 비전과 사명은 인도의 수용성을 가진 사람들을 분류하고, 제자삼아 변화시키며, 전방 복음 전도자들과 현지 선교사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훈련, 준비시켜 복음을 듣지 못한 사람에게 복음을 전하고 교회를 배가시키는 전략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이것이 우리의 마스터 프랜이다… 이것이 우리의 믿음의 행진이다!”
p. 195
인도성결교회는 선교 전략을 실천하기 위해 종족 선교와 자국민 선교를 위해 인도인 선교사 운동(Indian Missionary Movement) 단체를 설립하고, 교회 전방개척을 한 십자군 전도대(Every Community for Christ), 종족 선교를 위해 우정의 선교사 기도밴드(Friends Missionary Prayer Band)와 협력하여 사역했다. 또한, 수용성 선교 전략과 능력대결 선교 전략, 그리고 도시선교 전략, 사회봉사와 구호활동, 해외의 교단과 선교단체와 전략적으로 협력하고 있다.
p. 244
제1부 서론
제1장 문제 제기와 연구 목적
제2장 연구 방법과 연구 범위
제3장 선행 연구와 용어 정리
제2부 인도교회의 역사와 선교
제1장 인도교회의 역사
제2장 인도교회의 선교 전략
제3부 한국교회의 인도 선교
제1장 한국교회의 인도 선교 전략
제2장 한인 선교사의 인도 선교 역사
제4부 인도성결교회의 선교 전략
제1장 인도성결교회의 선교 전략 동반자
제2장 인도성결교회의 선교 역사와 전략
제5부 결론
제1장 요약
제2장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본서를 통해 이병성 박사는 높은 계층의 사람들에게도 선교해야 한다는 필요성과 그것의 다양한 선교 전략들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본서는 주님은 잃어버린 영혼을 구원하는 일에 이병성 박사와 인도복음주의교회(ECI)를 함께 사용하신다는 증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 에즈라 살구남 박사 _ 인도복음주의교회 초대 총회장
ECI를 포함한 인도의 교회는 ‘높은 계층’에게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기 위해 힘쓰지 않았다는 저자의 주장을 받아들여야 합니다. 본인은 전 세계, 특별히 아시아의 기독교 권역의 독자들에게 ECI를 통한 인도 선교 전략에 관한 연구 결과를 알리게 되어 기쁘게 생각합니다. 본인은 앞으로 인도교회의 미래를 위해 진지한 연구를 열망하는 사람들에게 본서를 강력히 추천합니다.
– 데이비드 오네시모 박사 _ 전 마드라스신학대학 학장
Weight | 1 lb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