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에서 위대한 랍비 학자 둘 혹은 셋을 꼽으라면 그 중 한 명에 – 심지어 가장 위대한 학자로도 – 손꼽힐 정도로 저명하면서도 보수적인 랍비 다니엘 보야린”[Daniel Boyarin]은 얼마 전 목소리를 낮추어 나에게 그의 생각을 조심스럽게 털어놓은 적이 있다. 이처럼 보야린의 견해는 은밀하게 전해졌다. 그 견해가 분명 랍비들을 곤란하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랍비들은 보야린의 견해를 따르는 사람들이 [그 견해에 대한] 탈무드의 근거들을 있는 그대로 알 수 있게 될 것이라 생각했다. 기독교인으로서 내 생각을 털어놓자면 보야린의 견해는 기독교인들도 똑같이 곤란하게 만든다. 신약성경에 대한 그의 독창적인 해석이 [우리의 기존 해석과] 동등한 근거를 가졌음을 인식하게 된 기독교인들 말이다.
보야린의 탁월한 견해가 곤란을 일으키는 이유는 [유대인과 기독교인] 서로 간에 상호적으로 확립된 한 쌍의 정체성을 흐릿하게 또한 복잡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그의 업적은 이러한 상호 관계의 개념을 정확히 파악하고, 랍비들과 복음서 저자 모두를 대담하게 다시 읽는 작업 한가운데로 그 관계를 끌고 온 것이다. 그 결과는 깜짝 놀랄 만한 것이어서, 일단 당신이 – 유대인이든 혹 기독교인이든 – 보야린이 완수한 작업을 이해하고 나면, [당신의 진영에서 보는] 성경의 가장 친숙했던 구절들조차 갑작스레 전혀 낯설게 느껴질 것이다.” – 잭 마일스 서문 중.
이 작은 책, 『유대배경으로 읽는 복음서』에 담긴 신학적 함의들은 어마어마하다: 유대교와 기독교의 관계, 유대배경 문헌의 (상호텍스트적) 사용과 유대 해석학(미드라쉬), 고대근동 신화 및 이스라엘의 신관의 발전, 메시아사상, 인자론, 신론과 기독론, 율법에 대한 예수의 태도 등등. 무엇보다도 다니엘 보야린은 우리가 알고 있는 기독교와 유대교 사이의 관계에 대한 통념에 도전한다. 그는 ‘유대교 = 유일신론’ 도식을 깨뜨리면서, 흔히 기독교와 유대교의 경계 표지로 간주하는 삼위일체 교리와 (신이 인간이 되는) 성육신 교리의 싹이 유대교 안에 이미 존재하고 있었던 것이라는 획기적인 주장을 펼친다. 유대교와 기독교가 각기 자신을 더 명확하게 정의내리는 일에, 아이러니하게도 서로를 활용했다는 점은 놀랍도록 설득력 있게 다가온다. 더불어 “사람의 아들”(인자)과 “하나님의 아들”이 의미하는 바를 구약성경과 유대배경문헌 및 고대근동 신화에 비추어 읽음으로써 기존의 해석들을 뒤집고, 그 결론을 토대로 복음서에 나타난, ‘율법에 대한 예수의 태도’를 명료하게 조명한다.
제1장 하나님의 아들에서 사람의 아들로 ㅣ 61
제2장 『에녹1서』와 『에스라4서』의 그 사람의 아들: 1세기 다른 유대 메시아들 ㅣ 131
제3장 예수께서는 코셔를 지키셨다 ㅣ 171
제4장 다니엘서 미드라쉬로 보는 고난받는 그리스도 ㅣ 209
에필로그: 유대적인 복음서 ㅣ 249
성구/고대문헌 색인 ㅣ 255
Weight | 1 lb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