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00 $42.00
열왕기에 나타난 네 가지 언약을 정리하면 이렇다. 아브라함 언약은 시내산 언약과 다윗 언약의 모체다. 시내산 언약과 다윗 언약은 별개의 언약이 아니라 동전의 양면같이 밀접하게 연계되고, 이 세 언약은 새 언약을 통해서 성취된다는 것이 열왕기에 시사된다. 아래에서 이스라엘 백성이 여호와의 언약 백성으로 탄생하고 존속하게 이끌어 주는 세 가지 언약의 중심 내용과 그 땅에서 멸망한 이스라엘 백성의 미래를 내다보는 새 언약을 간략하게 살펴보겠다.
-p.41
엘리야와 엘리사의 관계에서 우리가 배워야 할 것은 차세대 양육법이다. 엘리야와 엘리사의 관계는 예수 그리스도와 제자들과의 관계에 비견할 수 있다. 이러한 양육은 삶의 전 영역에서 이루어진다. 먼저 그리스도인 지도자들(예컨대 부모, 교회에서 가르치는 자들, 신학교 교수 등)은 행동으로 본을 보이며 가르쳐야 할 것이다. 엘리사가 엘리야를 “내 아버지”라 불렀다는 것은 엘리사가 엘리야의 삶을 본받았음을 의미한다.
영적 부자 관계를 통해서 엘리야에게 있었던 하나님의 영/성령의 사역이 엘리사에게 이어졌다. 이 모범의 원형은 인류와 모든 피조물을 위한 하나님의 크신 뜻이 이루어진 성부 하나님과 성자 예수 그리스도와의 관계(예컨대 요 17장)에서 볼 수 있다. 이는 바울이 그의 사역의 근간으로 삼았던 모범이기도 하다. 바울은 스승이기보다는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복음으로 믿는 자들을 낳은 아버지였다(고전 4:15-16). 우리가 가정과 사역의 현장(예컨대 교회, 신학교와 선교지 등)에서 바울처럼 부모의 마음을 가지고 섬길 때 진정한 영적 양육이 이루어질 것이다.
-p.106
제1계명을 경험적으로 배운 나아만과는 달리 북왕국 사람들은 우상 숭배에 깊이 빠져 선지자 엘리사의 말을 전적으로 신뢰하지 않음으로써, 그들이 여호와가 어떤 하나님이신지 경험해보지 못했음을 스스로 증언한다. 나아만의 두 가지 간청은 여호와 하나님을 향한 신앙고백이며, 또한 그분을 섬김에 있어서 그의 한계 내에서 할 수 있는 최선이기도 하다. 나아만의 이런 신앙은 엘리사 당대에 기꺼이 우상들을 숭배하는 이스라엘 사람들과는 크게 대조된다.
-p.154
에돔의 독립과 립나의 반역이 유다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역대기 저자에 따르면 블레셋 사람들과 구스/에티오피아 근처에 있는 아라비아 사람들이 유다를 쳤다(대하 21:16). 문맥상 이 침략은 에돔이 독립한 후에 일어난 것으로 보이므로 에돔의 반역과도 연계된다. 이런 상황은 유다가 주요 교역로들에 대한 관할권을 잃게 된 결과를 초래했을 것인데, 그 교역로들은 이렇다. 유다의 남부 지역의 신 광야와 바란 광야를 동서로 관통하는 여러 개의 주요 간선 대상 교역로는 아라비아반도 해안을 따라 에시온게벨로 연결되는 대상로를, 그리고 요단 동편에 남북으로 뻗어 있는 왕의 대로를 블레셋 해안 지대를 경유하는 국제해안도로와 연결해준다.
그동안 유다는 봉신국인 에돔의 도움을 받아 네게브를 지나는 주요 무역로를 지나는 대상들로부터 통행세를 거둬들였을 것이다(참조. 지도 9, p.326).17 하지만 유다의 종주권에서 벗어난 에돔이 국제 교역의 요충지인 솔로몬이 세운 주요 항구 에시온게벨(왕상 9:26-28)과 남쪽 아라비아로 뚫린 교역로(왕상 10:15하)를 장악하게 된 것이다.18 그리고 블레셋 사람들과 에티오피아 근처에 있는 아라비아 사람들도 주요 간선 교역로들을 관할할 수 있는 기회를 잡게 되었다. -p.208
약어표 14
저자 서문 17
서론 22
제1장 권력에 눈먼 북왕국 이스라엘의 아하시야왕 ㅣ 1:1-18 74
제2장 북왕국 이스라엘을 향한 여호와의 언약적 사랑의 증표: 엘리야와 엘리사 ㅣ 2:1-25 86
제3장 모압에 대한 종주권 회복을 위한 북왕국 이스라엘 왕 요람의 전쟁 ㅣ 3:1-27 108
제4장 북왕국 이스라엘에 사는 믿음의 사람들을 돌아보시는 여호와 ㅣ 4:1-44 128
제5장 아람에 나타내신 여호와의 영광: 군사령관 나아만의 신앙 ㅣ 5:1-27 145
제6장 북왕국 이스라엘 백성을 향한 여호와의 신실하심 ㅣ 6:1-33 163
제7장 풍전등화 같은 사마리아의 실상 ㅣ 7:1-20 181
제8장 엘리사의 영향력과 아합의 집 노선을 따른 남왕국 유다 왕들 ㅣ 8:1-29 194
제9장 북왕국 이스라엘의 왕이 된 예후 ㅣ 9:1-37 217
제10장 소명을 넘어선 예후왕 ㅣ 10:1-36 235
제11장 남왕국 유다의 격동기 ㅣ 11:1-21 256
제12장 재건된 남왕국 유다의 왕이 된 다윗의 자손 요아스 ㅣ 12:1-21 275
제13장 북왕국 이스라엘의 왕 여호아하스와 요아스, 엘리사의 마지막 사역 ㅣ 13:1-25 293
제14장 남왕국 유다의 왕 아마샤와 북왕국 이스라엘의 왕 여로보암 2세 ㅣ 14:1-29 311
제15장 남왕국 유다의 흥기와 북왕국 이스라엘의 혼란기 ㅣ 15:1-38 335
제16장 앗수르 제국의 봉신이 된 남왕국 유다의 왕 아하스 ㅣ 16:1-20 360
제17장 북왕국 이스라엘의 멸망과 재편 ㅣ 17:1-41 383
제18장 홀로 남은 남왕국 유다: 히스기야왕 ㅣ 18:1-37 415
제19장 히스기야왕의 기도와 여호와의 응답 ㅣ 19:1-37 460
제20장 새로운 국면을 맞이한 히스기야왕 ㅣ 20:1-21 483
제21장 우상 숭배 정책으로 국정을 운영한 므낫세왕과 아몬왕 ㅣ 21:1-26 503
제22장 여호와께 충직한 요시야왕 ㅣ 22:1-20 523
제23장 요시야왕의 범국가적 개혁 ㅣ 23:1-30 538
제24장 남왕국 유다의 마지막 네 명의 왕 ㅣ 23:31-24:20 571
제25장 유다의 멸망, 저 너머 희망의 여명 ㅣ 25:1-30 589
참고 문헌 627
“유다는 어쩌다가 패망의 나락에 빠지게 되었는가?”
“뭐가 잘못되었단 말인가?”
“패망 너머에 희망은 있는가?”
“있다면 그 근거는 어디에서 발견되는가?”
이런 질문을 염두에 두고 읽어야 할 책이 열왕기서, 그중에서도 열왕기하가 될 것입니다. 본서는 이런 질문에 대한 대답을 ‘언약’이라는 열쇠로 풀어가며, 수풀을 볼 수 있는 안목을 제공하는 동시에 본문의 세부 형태를 현미경으로 볼 수 있게 합니다. 게다가 영적, 신앙적 권고를 신학적 단상 형태로 적재적소에 실었기에 단순 주석서를 넘어 신앙에 유익을 줍니다.
– 류 호 준 박사 / 백석대학교 신학대학원 전(前) 구약학 교수
Weight | 2 lb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