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이제 서른 번째 저술을 세상에 펴낸다. 이 책은 지금까지 나의 신학여정에서 사색하며 논구하였던 많은 내용들의 요약이다. 때로는 과거에 진술했던 내용을 반복하는 글들도 없지 않지만, 나이가 들면서 성경에 눈이 더욱 넓고 깊게 열리면서 새롭게 이해한 부분도 적지 않다. 나는 이 책이 “하나님의 말씀이 살아있다”는 것을 믿는 사람들이 신약성경 신학을 펼치며 다루고 지키는 전술과 병력과 보루가 되기를 희망한다.
– 머리말 중에서-
들어가는 말 _ 015
1. 신학은 왜 필요한가? _ 015
2. 신학이란 무엇인가? _ 015
3. 신학은 어떻게 하는가? _ 016
제1부_ 서론
제1장 신약신학의 문제 _ 021
1. 마찰 _ 022
2. 발전 _ 029
3. 단층 _ 033
제2장 신약신학의 과제 _ 042
1. 신약성경 이해의 차원 _ 043
2. 신약성경 적용의 범위 _ 070
제2부_ 성경
제1장 성경의 신비 _ 079
1. 신적 신비 _ 079
2. 성경기록에서 하나님 속성의 표현 _ 083
3. 삼위일체 하나님과 성경의 기록 _ 085
4. 삼위일체론 이단과 성경기록 이해 _ 087
5. 삼위일체적 성경 _ 090
제2장 계시 _ 093
1. 계시의 개념 _ 093
2. 계시의 종결 _ 096
제3장 영감 _ 099
1. 영감의 전제 _ 099
2. 영감의 과정 _ 099
제4장 성경 _ 101
1. 성경 개념 _ 101
2. 성경 사용 _ 107
3. 성경의 역사성 _ 109
4. 신약성경 안의 마찰 _ 120
제3부_ 하나님
제1장 삼위일체 하나님 _ 129
1. 삼위일체의 신비 _ 129
2. 삼위일체의 계시 _ 130
3. 삼위일체의 구조 _ 131
4. 삼위일체론의 적용 _ 134
제2장 성부 하나님 _ 136
1. 하나님 속성의 분류 _ 136
2. 하나님 속성을 드러내는 다양한 표상방식 _ 139
3. 하나님 속성의 표상방식의 근원 _ 143
제3장 예수 그리스도 _ 145
1. 선재 _ 146
2. 비하 _ 146
3. 승귀 _ 160
4. 재림 _ 164
제4장 성령 하나님 _ 166
1. 성령님의 이름 _ 166
2. 성령님의 신분 _ 171
3. 성령님의 활동 _ 172
제4부_ 세계
제1장 세계 창조 _ 197
제2장 영적 존재 _ 200
1. 천사 _ 200
2. 범죄한 천사 _ 202
제3장 인간 _ 205
1. 인간의 본질 _ 205
2. 인간의 실존 _ 210
3. 인간의 자아정체성 _ 216
4. 사회적 약자 _ 222
부록 휴식 _ 229
제5부_ 구원
제1장 구원 _ 235
1. 구원의 원인 _ 235
2. 구원의 방식 _ 244
제2장 언약 _ 257
1. 신약성경에 나오는 언약들 _ 257
2. 언약의 삶 _ 274
제6부_ 교회
제1장 교회의 본질 _ 281
1. 하나님과의 관계 _ 282
2. 성도와의 관계 _ 283
3. 세상과의 관계 _ 283
제2장 신앙고백 _ 285
1. 신앙고백의 형성 _ 285
2. 신앙고백의 형태 _ 289
부록 베드로의 신앙고백의 의미 _ 292
제3장 예배 _ 294
1. 기본 요소: 설교와 기도 _ 294
2. 확장 요소: 성찬과 교제 _ 295
3. 추가 요소: 찬송 _ 296
제4장 성례 _ 298
1. 세례 _ 298
2. 성찬 _ 303
제5장 교제 _ 319
1. 코이노니아의 수직성 _ 319
2. 코이노니아의 수평성 _ 320
제6장 공동체 _ 323
1. 예배일 _ 323
2. 집회소 _ 331
부록 지금도 사도가 있는가? _ 333
부록 여성 목사 안수는 성경적인가? _ 335
제7부_ 윤리
제1장 성경적 세계관(사회관) _ 341
1. 세상에 대한 부정적 자세 _ 341
2. 세상에 대한 긍정적 자세 _ 342
제2장 신약성경의 윤리 _ 344
1. 기독교 윤리의 전제 _ 345
2. “빛 가운데 행함”의 의미 _ 346
제3장 신자의 삶의 원리 _ 351
1. 성령님의 표준을 따른다 _ 352
2. 예수님의 마음을 가진다 _ 353
3. 하나님의 은혜를 누린다 _ 354
부록 믿음의 삶 _ 357
제4장 신자의 삶의 실천 _ 362
1. 하나님을 섬긴다 _ 362
2. 성경을 믿는다 _ 363
3. 신앙고백을 따른다 _ 365
4. 하나님 나라를 세운다 _ 365
5. 거룩한 삶을 일군다 _ 367
제5장 신자의 사회참여 _ 369
1. 사회참여의 원리 _ 369
2. 사회참여의 목적 _ 370
3. 사회참여의 방식 _ 372
부록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_ 392
부록 고난 _ 409
제8부_ 하나님 나라
제1장 종말론 _ 415
1. 종말론의 중요성 _ 415
2. 종말론 논쟁(19세기 이후) _ 417
제2장 개인의 종말 _ 418
1. 죽음 _ 418
2. 중간상태 _ 419
3. 부활 _ 420
부록 일시적 부활 _ 422
제3장 세상의 종말 _ 424
1. 말세의 현상 _ 424
2. 예수님의 재림 _ 426
제4장 내세 _ 428
1. 내세의 공간(낙원) _ 428
2. 내세의 보상(상급) _ 441
제5장 하나님 나라 _ 448
1. 하나님 나라의 용례 _ 448
2. 하나님 나라의 개념 _ 453
3. 하나님 나라의 표현 _ 456
지은이는 어린 시절 하나님께서 몇 번 기회를 주셔서 성경에 깊은 열망을 품게 되었다. 이러한 열망으로 신학을 공부해야 한다는 결심을 한 지은이는 총신대학교와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에서 공부한 후, 독일 뮌스터 대학교 신학부에서 Martin Rese 교수의 지도로 ‘선지자보다 큰 자: 세례자 요한 연구’ 라는 제목으로 박사학위(Dr. theolo.)를 받았다. 성경에 대한 깊은 그의 관심은 독일 유학중에도 여러 도시(아헨과 부퍼탈)에서 목회하면서 말쓰을 가르치는 일이나 귀국 후 서울에서 교회를 맡아 목회하는 일로 나타났다. 지금은 모교인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에서 신약학 교수로서, 성경은 하나님의 계시라는 신념 아래 성경으로 연구하며 가르치고 있다. 성경을 제대로 알아보겠다는 일념으로 한눈 팔 새 없이 읽고 말하고 글을 쓰는데 삼십오 년이라는 세월을 보냈다는 지은이는 오랫동안 어려운 신학도 공부해 봤지만 이제는 어떻게든 성경을 잘 알아듣기 쉽게 가르치는 일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 지은이는 신학이 반드시 교회를 위한 것이어야 한다는 확신과 신학자는 반드시 목회자이어야 한다는 생각을 실천하려고 오늘도 서울 양재동에 위치한 그의나라교회를 섬기고 있다.
Weight | 1.5 lb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