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화의 첫 노래는 “Somebody To Love”이고 마지막 노래는 “We are The Champion”이다. 마지막 라이브 에이드에서 모든 주변인은 하나가 된다. 난민의 후예였던 디아스포라 아버지와 가족도, 동성애자인 짐 허튼과 상처 받은 애인 메리도 함께 서서 공연을 응원한다. 메리와 허튼은 눈시울이 뜨거워지고, 프레디의 어머니는 숨을 가쁘게 쉰다. 이름을 알 수 없는 수많은 관중이 환호하며 공연에서 하나가 된다. 그들은 모두 노예가 되고 싶지 않고, 폭군이 되고 싶지 않은 지점에서 친구가 된다.
<보헤미안 랩소디>에서
문득 “아빠가… 손님을 두고 왔어”라며 흐느끼던 택시운전사의 대사가 떠오른다. 나는 무엇을 두고, 무엇을 모른 척하고, 무엇을 외면하고 앞으로만 가고 있는가. “아빠가 손님을 두고 왔어, 아빠가 손님을 두고 왔어.” 막내와 걷는데 자꾸 발이 떨어지지 않는다. 눈물로 끝내면 안 된다. 이 사건을 일으킨 살육자들을 찾아내야 한다. 다시는 이런 비극이 일어나지 않도록 이름도 쓰기 싫은 전두환과 그 추동 세력의 행동에 대한 책임과 벌을 물어야 한다. 절대로 눈물로 얼버무려서는 안 될 일이다. 아들 앞에서 눈물 보이면 안 되는데, 아유 덥다, 눈시울에 괴인 땀인지 눈물인지를 훔쳐냈다. 아빠는 손님을 두고 오고 싶지 않았어, 아빠 손님들 태우고 싶었어. 세상을 구원하는 것은 오래 참은 눈물과 지엄(至嚴)한 기억이고, 오래 묵은 슬픔은 가끔 사랑으로 다가온다.
<택시운전사들>에서
선과 선을, 위와 아래를 오가며 현실과 판타지를 오가는 원칙, 그 사이에 히치콕은 머뭇거림과 공포를 사용한다. 공포를 느끼면서 관객은 그의 판타지 세계로 들어간다. 그 판타지에 들어갔다가 다시 나오는 순간, 관객이 일상으로 돌아왔을 때, 지겨웠던 일상이 전혀 새로운 공간으로 다가오는 것이다. 히치콕이 노리는 것은 바로 영화를 본 다음 순간이다. 그다음 순간은 히치콕 영화를 보는 사람마다 모두 다른 실제 세계를 깨닫는 시간일 것이다.
<싸이코>에서
사람들은 근본과 단절되는 순간 불안을 느낀다. 사람들 무리에 연결되지 않으면 불안에 휩싸인다. 관계와 고독이라는 두 가지 양극에서, 고독을 즐기는 삶을 연습하지 못한 사람들은 정신없이 관계를 찾는다. 소설 <페스트>에서도 고독에 익숙지 못한 사람들은 관계를 찾아 술집을 찾고, 교회를 찾고, 마지막에는 광장의 혼돈을 찾는다. 지금 코로나 시대에 소설과 비슷한 일이 벌어지고 있다. 단절을 못 견디는 사람들이 광장으로 나가고, 술집에 모이고, 교회에 모여 소리 높여 서로 존재를 확인하며 안심하는 상황을 목도한다. 단절되면 불안해한다.
<이방인>, <페스트>에서
최동훈 감독은 절대악을 영화 <레미제라블>처럼 자살로 마무리하지 않고, 죽인다. 현실은 그렇지 않은데 죽인다. 죽여 버린다. 그래서 이 영화는 조금 무섭다. 어떤 이들에겐 분명 난데없는 공포영화로 엄습할 것이다. 그러나 주의해서 이 글을 읽어주시기를 바란다. 나는 지금 연좌제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독립군의 자식 중에도 아비의 뜻과 달리 비루하게 사는 사람들이 있다. 친일파의 후손인데도 전혀 다른 위인들이 있다. 다만 기억하자고 말할 뿐이다. 조금의 양심이 살아 있다면 말이다. 허구적인 역사 영화는 허구로만 본다면 아무 의미가 없다. 이 영화는 여러 번 “잊지 말라”고 권한다. 이 장치가 허구를 현실로 끌어당긴다.
<암살>에서
이 죽음의 서열화는 곧 차별의 서열화가 죽은 후에도 이어지는 것을 보여준다. 물론 이러한 태도는 당시의 봉건적 세계관을 나타내는 구도로는 당연할지 모른다. 그런데 은연중에 그 봉건적 세계관이 오늘날 다시 재현되면서 그 서열을 숭엄(崇嚴)하게 하는 것이다. 명성황후와 그녀를 둘러싸고 있는 궁녀의 혼령들이 서서히 걸어 나오며 애국주의를 노래한다. 이때 가장 크게 애도받는 명성황후가 중앙 전면부에 위치하고 나머지 죽음은 부차적으로 따라 나온다. ‘죽음의 서열화’가 극명하게 미화되는 순간이다. 우리는 어느덧 애도해야 할 사람과 애도하지 않아도 될 죽음을 구별하는 것이다. 가령, 2009년 노무현과 김대중 전 대통령이 서거했을 때 그들에 대한 애도는 더욱 거대해지고, 용산철거민 사건으로 냉동고에 누운 호모 사케르(homo sacer) 5인의 주검은 애도받지 않아도 될 존재로 잊혔다. 마치 차별받던 흑인은 죽어서도 차별받는다는 구도를 담론화하는 것 같은 인상을 준다.
<명성황후>에서
2부
국가 주도 국뽕 Vs 다중 주도 국뽕
1960 <싸이코>
히치콕 판타지
1954 <디엔 비엔 푸>
끈질긴 항전과 지루한 패배
1944 <바스터즈, 거친 녀석들>
명랑한 폭력과 장르 파괴
1942 <말모이>
조선말 큰사전과 조코잼 영화
194X년 <이방인>, <페스트>
부조리에 맞서는 카뮈의 저항
1940 <글루미 선데이>
우울한 부다페스트
1933 <암살>
속사포와 (애국)계몽 오락영화
1920 <연인>
지워지지 않는 원초적 사랑
1917 <1917>
우연과 현실의 연속
3부
1895 <명성황후>
문화콘텐츠, 영화와 뮤지컬
1877 <라스트 사무라이>
사라지는 사무라이
1815-1832 <레미제라블>
숭고의 데자뷰
1789 <마리 앙투아네트>
미완성의 혁명과 불행한 여성
1771 <괴테>
질풍노도와 젊은 베르터의 고뇌
1750 <미션>
두 사람의 표정, 그리고 엔니오 모리꼬네
1637 <사일런스>
시네마 에피파니
12세기 <햄릿>
애도의 심리학
1182-1226 <프란체스코>
평화의 도구로 써주소서
BC 551-479 <공자>
춘추전국시대와 시진핑 중화주의
BC 1010-971 <다윗 대왕>
다윗에 대한 네 가지 기억
고맙습니다
Weight | 1 lb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