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 기간 인간을 따라다녔던 불안과 소외의 문제는 여전히 우리 사회 저변에 깔려 있다. 이 문제를 극복하고자 니체와 프로이트 같은 저명한 학자들이 시대에 걸맞은 처방을 건넸지만, 어느 누구도 완벽히 극복해 내지 못했다. 시간이 갈수록 고조되는 불안과 소외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 나갈 수 있을까? 이 책의 저자인 은준관 박사는 “오직 하나님과의 만남, 곧 신앙으로”라는 기독교적 메시지로 문제 해결을 위한 단초를 제공한다.
하지만 우리는 신앙을 형성하기 위한 교육의 장이 점차 사라져가고 있는 현상을 목도하고 있다. 기독교 신앙의 초석을 다지기 위한 교회교육이 부재하기에 다시 난처한 상황으로 되돌아온다. 저자는 복잡하게 얽힌 이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교회, 학교, 가정, 사회라는 장(場)을 중심으로 기독교교육이 직면한 위기를 세밀하게 분석하고 실천 가능한 대안을 제시한다.
기독교교육의 새로운 보금자리를 찾아서
다양한 시공간에서 태동했던 기독교교육은 현대로 들어와 방향 감각을 상실해 버렸다. 방대한 양의 자료와 화려한 교육 방식이 도입되었음에도 현실과 동떨어져 보이는 이미지를 탈피하지 못했다. 결국 기독교교육은 현장에서도 외면당해 변두리로 내몰리고 말았다. 기독교교육이 이런 취급을 받게 된 데는 장(場)의 부재가 크게 자리하고 있다. 하나님과 인간 그리고 교회 구성원들이 서로 만나고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이 사라지면서 본질을 잃어버린 교육으로 전락하고 만 것이다.
저자는 고대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교육의 변천사와 위기를 되짚어보며, 우리가 취사선택해야 할 사상이 무엇인지 심도 있게 고찰한다. 시대마다 패러다임의 전환을 일으켰던 저명한 교육자들의 사상을 되짚어 보며 문제의 원인과 결과를 추적해나간다. 기독교교육의 현실을 날카롭게 진단하는 그의 연구는 대안이 시급한 많은 교회학교에 회복의 바람을 불러일으킬 것이다.
비록 인간 역사와 사회는 타락했으나, 이 사회와 역사는 여전히 하나님의 통치하심 안에 있는 하나님의 지평이며, 인간 역사는 하나님의 정의가 실현되는 장이었다. 그러기에 성서적 신앙은 이 역사와 인간 사회를 궁극적으로 하나님의 공의와 사랑이 실현되는 구원의 장으로 받아들인다. 이것이 사회를 기독교교육 현장의 원형으로 수용하는 근거이다. 기독교교육은 기본적으로 교사와 학생, 교실이라는 교육적 교류를 교회 사역의 영역으로 수용한다. 동시에 하나님 사랑, 이웃 사랑을 창조하는 이 땅의 모든 공간, 가정, 교회, 학교, 사회를 기독교교육의 현장으로 수용한다. 기독교교육은 원초적으로 학생, 교실, 교재, 교사라는 네 차원이 창조하는 교육이지만, 그것을 담아내는 장은 교회(예배)이고, 가정이며, 학교이고 사회이다. 이 네 장(場)을 공동체로 현장화(現場化)하는 과제가 기독교교육 현장론이다.
– 제1부 2장 기독교교육 현장의 원형 중에서
예수의 공생애 사역은 한마디로 오고 있는 하나님 나라의 선언이었다. 사역의 방법은 12제자의 부름이고, 대화였으며, 기적 행함이었다. 그리고 제자를 부르신 목적은 모든 사람을 하나님의 백성으로 부르시고, 세우시고, 보내시는 하나님의 구원을 증언하기 위함이었다. 복음서는 이 소박한 그러나 결정적인 예수의 메시지가 이 세계와 인류를 구원하고, 교회를 세우고 보내시는 절정이었음을 증언한다. 오늘 한국교회의 미래는 오고 있는 하나님 나라를 중심으로 교회가 주체가 되고, 교회를 장으로 하는 교회교육을 회복해야 하며, 그것은 하나님 나라와 의를 이 지상에 선포하고 모든 백성을 하나님의 백성으로 모으고 세우고 보내는 교육과 목회로 전환하는 길일 것이다.
– 제2부 2장 교회교육론: 교육 신학적 논의
그리고 성경은 역사적 배경(context)을 담고 있다. 메소포타미아, 구바빌론, 앗수르, 신바빌론, 페르시아, 그리스, 로마는 구약과 신약 시대를 지배하고 있던 지상 왕국들이었다. 구약과 신약에 등장하는 모든 에피소드는 이 제국들이 펼친 역사적 상황과의 밀접한 관계 안에서 일어난 사건들이었다. 이 역사는 타락한 역사였지만, 역사는 여전히 하나님의 창조하심, 심판하심, 구원하심 안에 있는 하나님의 무대였다. 그러기에 이 역사를 떠난 성경 에피소드는 존재하지 않으며, 성경은 역사를 배경으로 읽고 해석되어야 한다. 오늘 한국교회의 설교와 성경공부가 빠져있는 허상은 바로 이 역사를 떠난 본문 풀이에 있다. 그리고 성경의 세 번째 차원은 본문, 역사를 통해 지금 말씀하시는 하나님의 음성(pre-text)이다. 본문과 역사를 통해 말씀하시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온 인류를 화해와 사랑으로 초대하시는 하나님의 구원의 소식이다.
– 제3부 4장 평신도 교육
제I부 기독교교육 현장론 – 서설
1장 _ 기독교교육의 현장의 정의
I. 인간: 불안한 실존
II. 불안의 극복
III. 만남의 자리 – 기독교교육의 장(場)
2장 _ 기독교교육 현장의 원형
I. 장(場)의 3차원
II. 장(場)의 원형(原型)
제II부 교회교육론
1장 _ 교회교육의 역사적 변천과 위기
프롤로그
I. 교회교육의 기원과 역사적 변천
2장 _ 교회교육론: 교육 신학적 논의
프롤로그
I. 구속적 공동체, 교회와 교육: 하워드 그라임스(Howard Grimes)
II. ‘종교적 문화화’로서의 교회교육: 존 웨스터호프(John Westerhoff)
III. 증인 공동체로서의 선교와 교육: 레티 러셀(Letty Russell)
IV. 결론적 논거: 하나님 나라 백성을 세우는 교회교육
3장 _ 교회교육 회복을 위한 전략적 제언
I. 처음은 예배와 교육의 만남이다
II. 카테케시스(Catechesis, 교회교육)
III. 영적 교제(Koinonia)로서의 교회교육
IV. 선교와 봉사로서의 교회교육
V. 결어: 교회교육의 체계화
제III부 평신도 신학, 사역, 교육
1장 _ 평신도 신학: 서설
I. 하나님의 백성, 이스라엘과 교회
II. 변질
III. 회복
2장 _ 평신도 신학
I. 성서에 나타난 평신도
II. 역사적 변질
III. 종교개혁
IV. 로마 가톨릭의 역(逆)개혁
V. 제2차 바티칸 공의회(Second Vatican Council, 1962~1965)
VI. 1968년 WCC 웁살라 세계대회 missio Dei 신학
3장 _ 평신도 사역
I. ‘Space between’에서 풀어보는 평신도 사역
II. ‘Space between’에서의 목회자
III. ‘Space between’에서 하나님의 백성인 평신도
4장 _ 평신도 교육
I. 평신도를 하나님 백성으로
II. 평신도 신학 교육
III. 소그룹 모임
5장 _ 전략적 제언
I. 전략적 제언: 패러다임 전환
II. 예배, 교육, 교제, 선교는 평신도를 하나님의 백성으로 세우는 통로
III. 성서 연구의 회복
제IV부 주일교회학교론
1장 _ 주일학교의 기원과 역사
I. 영국의 주일학교
II. 미국의 교회학교
III. 한국의 주일교회학교
2장 _ 영성과 전문성이 엮어내는 교회교육 – 교육 신학적 논의
I. 교회학교를 어린이 청소년 교회로
II. CYCM 세미나 과정(현재 진행 중)
3장 _ 정책적 제언
제V부 가정 기독교교육론
1장 _ 가정의 기원과 변화
I. 가정의 기원
II. 가정의 변화
III. 가정의 미래: 비판과 예언
2장 _ 가정: 창조와 은혜의 장 – 신학적 논의
프롤로그
I. 신학적 현상으로서의 가정
II. 은총의 매개
3장 _ 가정 기독교교육의 창조적 모형들
I. 패밀리 클러스터
II. 다양한 유형
4장 _ 가정을 장으로 하는 기독교교육 – 전략적 제언
프롤로그
I. 가정 사역의 회복
II. 결론적 제언
제VI부 학교 기독교교육론
1장 _ 학교의 기원
I. 두 문화가 창출한 학교
2장 _ 히브리와 그리스의 만남: 우니베르시타스 – Universitas
I. 우니베르시타스(Universitas) 등장
II. 대학의 변모
III. 기독교 대학의 원형: 하버드대학
3장 _ 한국 학교와 교육
I. 고대 근대 한국 교육사
II. 한국 기독교학교의 역사
4장 _ 학교 교육의 문제와 위기
I. 학교의 위기
II. 기독교학교의 위기
5장 _ 기독교학교의 현장화
I. 기독교학교의 정체성 회복
II. 이사 파송
III. 헌법, 교회와 국가의 분리에서 풀어보는 기독교학교
6장 _ 전략적 제언
I. 정책 1. 교단 연합협의체 구성
II. 정책 2. 기독교학교의 행정 구조
III. 정책 3. 교목실 및 성경 교육
IV. 정책 4. 기독교학교의 교실 교육
V. 결론
제VII부 사회 기독교교육론
1장 _ 성서적 유산
I. 성서적 유산
2장 _ 기독교 사회 교육의 역사적 유산
I. 교회사에 나타난 유산
II. 한국적 유산
3장 _ 기독교 사회 교육의 신학적 논거
I. 성서적 유산
II. 세속도시의 등장
III. 그리스도와 문화에서 풀어보는 미래
4장 _ 사회를 장(場)으로 하는 기독교 사회 교육 – 전략적 제언
I. 지역 섬김
II. 정의사회 구현
III. 세계선교 사역
IV. 결론 한마디
참고문헌
경력
625 당시 서해안 8240부대 소속
학도유격대(donkey 11연대) 통신대장
육군 군목
시카고한인교회 담임목사
감리교신학대학교 교수 및 기독교교육연구소 소장
정동제일감리교회 담임목사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교수
연세대학교 교목실장 겸 대학교회 목사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장
SanFrancisco Theological Seminary 객원교수
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 설립 및 1, 2대 총장
현) 사단법인 어린이청소년교회운동본부 교육원장
현) TBC 성서연구원 이사장
현) 담임목사 포럼 운영위원장
현) 실천신학대학원대학교 명예총장
저서
『교육신학』
『기독교교육 현장론』
『신학적 교회론』
『실천적 교회론』
『인간 창조의 마지막 불꽃』
『구원 순례』
『TBC 구원사 성서연구』 신약구약(목회자용, 성도용) 외 다수
수상
호국영웅기장(625 참전)
20세기 기독교교육자 선정 (북미 기독교교육학회)
2010 Distinguished Alumn/ae Award, PSR
자랑스런 동문상-감리교신학대학교
Weight | 1 lb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