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00 $16.80
교회의 사회적 공공선을 위한 건설적 참여는 교회다움으로부터 시작되고 마무리된다. 교회만의 정체성을 보존하되 동시에 사회적 공공선을 위해 다른 사회 기관들과 연대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 이런 도식으로 단순화하기에는 무리가 있지만, 공적 참여의 방향성을 안과 밖으로 하면서도 서로에 대한 부분적인 인정과 비판을 적절하게 하는 입장이 있는데, 바로 공공 신학(public theology)과 급진 정통주의(Radical Orthodoxy)이다.
p. 71
세계화 상황에서 공공 신학은 하나님의 언약과 일반 은총 차원에서 기독교의 공적 참여가 필요하다. 세상을 창조하시고 섭리하시는 창조주는 인류가 더불어 살기를 원하시고, 모든 피조물과 인간 존재를 위한 공공선이 기독교 공공 정책의 궁극적 목적이 되어야 할 것이다.
p. 100
급진 정통주의는 분명하게 신앙과 이성을 아주 친밀한 두 형제처럼, 서로 얽혀있는 관계로 이해한다. 이원론으로 분리하지 않으면서 각각, 신앙과 이성의 토대 위에서 서로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방식이다. 밀뱅크는 이런 사상의 대표 주자로서 어거스틴과 신플라톤주의를 꼽았고 진리와 지식의 두 방향에서 하나님에게 도달하려는 방식을 취한다고 말한다.
p. 165
의 근원과 다른 존재들과의 관계 안에서만 존재할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이성의 역할은 인간의 본성을 파악하고 사회의 선함을 증진시키는 것이며, 더 나은 사회를 향한 공동의 비전을 실현하는 것이다. 그것은 인간의 영역으로만은 불가능하며 이성을 가능하게 하는 공동체와 그 공동체의 탈이성적인 가치와 비전들에서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p. 192
저자 서문
제1장 세속화, 종교의 종말?
제2장 성스러움의 귀환, 종교의 재부흥
제3장 후기 세속 사회의 종교를 향한 요구
제4장 공공성을 향한 신학의 출현
제5장 신학의 네 가지 공적 토대
제6장 공공성의 재발견과 공공 신학
제7장 다양한 공론장과 포괄적 접근들
제8장 공동체성을 향한 요구
제9장 급진 정통주의의 신학적 토대
제10장 급진 정통주의 관심
제11장 교회의 패러디로서 국가와 욕망의 성화
제12장 다시 공공성과 공동체성으로
참고 문헌
많은 독서량을 토대로 수집한 다양한 자료와 정보를 읽는 것만으로도 교회를 위한 새로운 상상력을 갖게 된다. 저자의 학문적 역량과 지적 호기심이 앞으로도 한국교회의 변화를 위해 쓰이기를 소망한다.
– 성석환 박사 _ 도시공동체연구소 소장, 장로회신학대학교 교수
이 책은 독자들이 철학적 흐름과 신학적 방향을 놓치지 않으면서도 공공 신학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 성신형 박사 _ 숭실대학교 기독교학과 교수
이 책은 공공 신학의 역사적 배경에서부터 학자들의 다양한 견해, 지역별 연구 동향에 이르기까지 지금까지 논의된 공공 신학의 연구 성과를 총정리했다.
– 최경환 연구원 _ 인문학&신학연구소 에라스무스
이 책을 읽는 독자는 한국교회가 한국 사회의 ‘공공성’을 추구하는 것과 동시에 교회의 고유한 ‘공동체성’을 유지해 나갈 수 있을지에 관해 저자와 함께 고민할 수 있을 것이다.
– 김상덕 박사 _ 기독교사회문제연구원 연구실장
Weight | 1 lb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