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의 문헌을 남긴 첫 번째 언약 백성들은 고대근동이라는 공통적인 문화적 자산 위에 살고 있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성경 계시를 참되게 존경하는 접근방법은 그들의 살았던 역사적 시기와 정치적 당면과제, 문화적인 독특성, 사회적 특이성 내에서 내러티브를 이해해야 할 것이다. 또 다른 의미에서, 구약성경 내에는 저자들의 의도적인 계시와 비의도적인 계시가 있다. 의도적 계시는 내러티브 저자들의 주제로 삼았던 것이라면, 비의도적 계시란 저자가 의도하지 않았더라도 첫 번째 (원)독자들에게는 당연하고 타당한 것으로 스며들어 있었던 정보들이다. 「고대근동 고대 시대와 이스라엘의 역사」는 그동안 성경의 역사와 분리되어 별도로 취급되기 쉬웠던 근동의 고대 사회의 시대의 서사의 세계로 독자를 초대한다.
<저자 서문 중에서>
01 고대근동 역사와 이스라엘
제 1장 고대근동 역사의 흐름
제 2장 팔레스타인의 지정학적 위치
02 고대근동과 원역사
제 1장 창세기(원역사)의 세계
제 2장 창세기(원역사)의 세계이해
03 족장 시대와 히브리인들의 기원
제 1장 족장 시대
제 2장 히브리인들의 기원추적
04 모세 시대와 출애굽
제 1장 이집트의 히브리인들
제 2장 출애굽의 사건
05 팔레스타인 정복
제 1장 이스라엘 정착에 대한 이론들
제 2장 가나안 정복기사 성경본문들
06 지파들의 생활과 통치구조
제 1장 주전 12세기 초의 상황
제 2장 주전 11세기 중엽의 팔레스타인 상황
07 왕정 전야
제 1장 사무엘에서 사울로
제 2장 사울과 초기 이스라엘 왕정
08 통일왕조 시대
제 1장 다윗 시대의 공적
제 2장 솔로몬의 통치
09 분열왕국에서 예후의 정변
제 1장 왕조의 분열
제 2장 르호보암 이후 예후 정변까지
10 예후 왕조에서 사마리아 함락까지 역사
제 1장 예후 왕조
제 2장 사마리아 함락까지의 역사
11 사마리아 함락에서 요시야 죽음까지 역사
제 1장 아하스에서 아몬까지 유다 역사
제 2장 유다와 국제정세
12 바벨론 포로기와 귀환
제 1장 요시아 사후의 역사들
제 2장 귀환의 과정
13 느헤미야에서 페르시아 제국 멸망까지
제 1장 성전 공동체
제 2장 에스라-느헤미야의 활동
맺음말
참고문헌
이스라엘의 역사에 접근하는 방법은 다양한다. 저자는 이스라엘의 역사를 구약성경을 중심으로 접근하되, 이스라엘과 끊임없이 영향을 주고, 받았던 고대 근동의 역사와 자료들을 적극 활용한다. 이스라엘 역사의 배경이 되는 이러한 고대 근동의 역사와 자료들을 통해서 구약성경의 본문은 생동감 있고, 입체적으로 다가온다. 본서는 이스라엘의 역사라는 제목을 갖고 있지만, 구약성경의 중요한 사건도 이스라엘의 역사적 배경속에서 알차게 소개하고 있다.
– 웨스터민스터대학원대학교 구약학 교수 l 강철구
Weight | 1 lb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