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성서 속 그 어떤 주요 전승의 흐름도 P-자료만큼 신학적으로 반성하며 통합적이라 할 수 없을 것이다. 이 자료는 조직적이며 잘 짜여진 결과, 완전한 세계관과 시간의 구조, 지리, 문화적 역할들, 주, 계절 그리고 여러 해에 걸친 주기들, 삶의 적절한 질서와 그 질서들의 상호 관계에 대한 견해, 삶의 와해를 극복하기 위한 의식과 절차 그리고 사람들 사이, 또한 사람과 하나님의 적절한 관계들의 회복을 위한 의식과 절차들을 제시할 수 있었다.
고대 이스라엘에 있어서 예언자들이 아니라 제사장들이 각 영혼들을 돌보는 주체들이었으며, 삶 속의 수많은 영역들과 위급한 상황 속에서 삶의 전체를 대처할 수 있었던 의미의 우주를 창안한 것이 제사장 신학이라는 점은 주지되어야 한다. 확실히 제의적 경건과 법률적 경건보다는 에언자의 선포가 더 영적인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실재로는 아마도 그 반대가 현실이었을 것이다. _ 본문 중에서
제1장 제사 문서의 제의 본문
1.1 서론 16
1.2 제사 문서에 대한 평가 17
1.3 P에 대한 역사-비평적 연구 22
1.4 P의 케리그마 신학들 33
1.5 제의의 조직적 신학들(Systematic Theologies) 41
1.6 요약 51
제2장 거룩과 정결 개념
2.1 서론 53
2.2 거룩의 어의론 영역 58
2.3 결론 76
제3장 거룩 스펙트럼
3.1 인류학의 도전 77
3.2 인류학이 제시하는 새로운 관점들 80
3.3 보다 오래된 개념들 92
3.4 정결과 부정 105
3.5 두 가지 예 117
3.6 결론 124
제4장 공간 영역
4.1 서론 166
4.2 성막: 127
4.3 성막 외형 묘사 133
4.4 성막 재료의 등급 146
4.5 등급 매기기와 감각 154
4.6 성막의 상징성 161
제5장 인물 영역
5.1 서론 166
5.2 제사장들 171
5.3 레위인 191
5.4 이스라엘 사람들 198
5.5 결론 217
제6장 의식 영역
6.1 희생과 의식 219
6.2 P의 희생의 모델들 228
6.3 정화 243
6.4 희생과 등급 매기기 253
6.5 결론 268
제7장 시간 영역
7.1 거룩 스펙트럼과 시간 269
7.2 절기 275
7.3 안식일 285
7.4 대속죄일 292
제8장 결론
8.1 제사장 제의 본문의 신학 312
8.2 구약신학의 구조 315
8.3 구약성서 속의 질서 320
부록
부록 1 제사장의 내러티브(Pg) 326
부록 2 부정의 등급들 333
부록 3 제사장의 역법 (레위기 23장; 민수기 28-29장) 336
부록 4 희생 제의력 (민수기 28-29장) 338
부록 5 역법과 절기들 340
참고문헌 342
색인
구약성서 본문 색인 403
유대교와 기독교 문헌 417
관련 학자들 색인 419
Weight | 1.5 lb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