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의 말씀을 아는 지식이 깊어지고 마음도 함께 뜨거워지는 책!
「IVP 성경신학사전」은 성경 통독이나 부분적 본문 연구만으로는 결코 도달할 수 없는, 성경 전체를 일목요연하게 조망하는 자리로 독자를 이끌어 준다. 성경과 신학의 최고 전문가 125명이 성경이 말하는 가장 중요한 200여개의 주제를 신구약 전체를 조망하며 깊이 있게 해설하였다. 지난 세기의 수많은 복음주의 성서학자들과 신학자들의 학문적인 노고가, 아름다운 결실로서 이 한 권의 책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성경신학이란?
모세와 이사야와 다니엘과 마태와 요한과 바울과 베드로가 모두 한 자리에 모여 한 가지 주제를 놓고 각자 자신의 생각을 발표하는 심포지엄을 상상해 보라. 성경신학은 바로 그러한 가상의 심포지엄에 참석하여 귀를 기울이는 일이다. 성경신학의 목적은 성경 본문 속에 등장하는 수많은 다양한 경험과 발견과 지혜를 전체적으로 일관성 있게 읽어 내는 것이다. 이러한 성경신학적 조망이 없다면, 우리는 하나의 성경 구절이나 사상에 근거 없는 우선권을 부여하며 성경의 다른 부분을 희생시키는 잘못에 빠지게 될 것이다.
성경신학사전이란?
성경사전이 언어, 사상, 역사, 고고학, 지리 등 성경과 관련된 배경 지식과 자료들을 제공하여 성경 이해를 돕는 사전이라면, 성경신학사전은 개별 단어의 어원이나 의미를 넘어 여러 가지 관련 단어와 사상을 하나로 묶어주는 신학적 개념을 다룬다. 예를 들어 성경사전과 성구사전만으로 ‘사랑’에 대해 조사할 경우, 아가페, 필리아, 에로스 사랑과 관련된 단어를 조사하고 그 단어가 등장하는 본문을 검색하여 살펴보는 데 그치기 쉽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사랑’이라는 말이 나오지는 않지만 하나님 사랑의 심오한 차원을 드러내 주는 성경 본문들(예를 들면,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이나, ‘사랑’과 관련된 주제들(예정, 섭리, 언약, 자비 등)을 포착하기 어렵다. 반면, 성경신학사전은 성경에 나오는 중요한 주제를 성경 전체의 맥락에서 폭넓게 조망함으로써 성경사전과 성구사전의 약점을 보완한다.
구성
1부: 성경관, 성경 읽기, 성경 사용, 성경신학과 관련된 12편의 논문
2부: 성경을 장르별, 책별로 개관하며 각 책이 다루는 중요한 신학적 주제를 소개
3부: 주요 신학 주제를 신구약 성경 전체를 조망하며 해설
특징
200개 이상의 핵심 주제를 성경신학적으로 정리함
복음주의권의 대표적인 성경학자와 신학자 125명이 기고
일반인부터 전문가까지 모두에게 유익한 명료하면서도 깊이 있는 내용
전문가들의 더 깊은 연구를 위해 참고 문헌 제시
활용법
(1) 더 깊은 성경 연구와 설교 준비를 위해
본문에 등장하는 신학적 주제를, 성경 전체를 단숨에 조망하면서 폭넓고 깊이 있게 파악한다.
연구하는 본문에 등장하는 중요한 신학적 주제를 파악한다.
2부의 책별 논문들을 통해, 그 주제가 연구하는 책 속에서 어떤 위치에 있는지 살펴본다.
3부의 주제별 논문을 찾아 성경의 큰 그림 속에서 그 주제를 살펴본다.
저자의 사상 속에서 그 주제가 어떻게 발전되는지 살펴보고, 같은 주제를 다른 성경 저자들은 어떤 방식으로 다루는지 비교해 본다.
(2) 성경 통독이나 책별 연구를 위해
사실이나 사건, 이야기의 골격을 파악하는 통독의 수준을 넘어, 성경 전체를 관통하는 중요한 신학적 주제들을 음미하며 읽는다.
2부의 책별 논문을 통해, 읽으려는 책에 등장하는 중요한 신학적 주제를 파악한다.
그 주제를 주목하면서 성경의 읽고자 하는 부분을 통독한다.
특정 주제를 성경 전체의 큰 그림 속에서 살펴보고 싶으면 3부의 주제별 논문을 찾아본다.
(3) 신학 연구와 더 명료한 생각을 위해
특정 주제와 관련하여 성경은 무엇을 말하는지 폭넓게 살펴보며 신학적 사고를 위한 토대를 견고히 한다.
3부 논문 중에서 알아보고자 하는 주제와 관련이 있는 표제어를 찾아본다.
성경 전체가 그 주제와 관련하여 무엇을 말하는지 살핀다.
성경 책별, 저자별로 다양한 관점이 존재하는지 살핀다. 각 관점이 보여 주는 독특한 색채와 강조점을 음미한다.
그 주제를 더 무게 있게 다루는 성경 저자나 책이 있으면, 2부 논문을 통해 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참고문헌 목록을 통해 그 주제를 다룬 중요한 자료가 무엇인지 살펴본다.
독자 대상
-성경 연구/통독 관심자
-신학생, 목회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