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2.00 $78.40
[출판사 서평]
고신총회의 70년 역사는 한국장로교회 역사와 대한민국 현대사와 그 궤를 같이합니다. 한국장로교회는 1907년 9월 17일 평양 장대현교회에서 조선예수교장로회 독(립)노회를 조직하였고, 1912년 9월 2일에 조선예수교장로회 총회를 개최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교회에는 숨기고 싶은 부끄러운 부분도 있습니다. 1938년 9월 장로교 총회에서 가결한 신사참배입니다. 주기철, 손양원, 한상동, 주남선 목사 등으로 대표되는 신사참배 반대자들은 광복 후 신사참배에 대한 회개와 쇄신을 한국교회에 요구했지만 당시 한국교회의 지도자들은 신사참배에 대한 회개와 반성은커녕 오히려 출옥성도들이 한국교회의 분란을 조장한다며 총회의 여러 가지 일에서 배척했습니다. 이에 한상동, 주남선 목사를 중심으로 한 촐옥성도들은 1952년 한국교회의 자정과 쇄신을 위해 ‘총로회’를 세우고, 새로운 한국교회를 건설하기로 하였습니다. 이에 동조하는 많은 교회들이 1956년 9월 20일에 대한예수교장로회 고신총회를 조직하였습니다.
100여 년의 한국장로교회 역사에는 굴곡이 많습니다. 그 가운데 영광스럽고 자랑스러운 부분도 많지만 치욕스럽고 감추고 싶은 부분도 적지 않습니다. 그 치욕스럽고 감추고 싶은 부분도 이 책은 가감 없이 담았습니다.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를 뿌리치며 순교의 피를 흘리기도 하고 옥에 갇혀 고문을 당하기도 하며 신앙의 정통과 생활의 순결을 몸소 실천한 선배들의 자랑스러운 모습, 합동과 환원, 사조 이사회 사건, 세상 법정 고소로 인한 분열 등의 숨기고 싶은 사건 그리고 오롯이 한 길만 걸어간 신앙의 선배들이 보인 모습을 본받아 70년을 걸어온 발자취를 생생하게 엮어내었습니다. 한국장로교회사뿐 아니라 기독교 역사의 진면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역사를 돌아보고 살피는 일은 너무나도 중요합니다. 성경의 전통이 그렇고 교회의 전통이 그러합니다. 이런 점에서 고신총회 70년을 맞아 총회의 역사를 돌아보는 것은 뜻깊은 일이라고 하겠습니다. 지난 역사에서 감사할 것은 감사하고 회개할 것은 회개하며, 고칠 것은 고쳐서 새로운 역사를 만들어 가야 할 것입니다.
-편찬사 중에서-
이번의 고신총회 70년사는 크게 4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1부, ‘기독교의 시원과 발전’에서는 예수님의 탄생에서부터 한국에 기독교가 전파되기까지의 역사를 기술한 것입니다. 예루살렘교회의 설립에서부터 중세와 종교개혁기를 거쳐 근대선교운동, 그리고 19세기까지의 기독교회 역사를 간략하게 정리한 것입니다. 제2부, ‘기독교의 전래와 한국에서의 교회’는 한국교회의 역사를 정리한 것입니다. 고신총회가 조직되기까지의 한국에서의 교회의 발전 과정을 기술했습니다. 고신총회는 해방 이후 갑자기 생성된 교회가 아니기 때문에 고신총회가 조직될 수밖에 없었던 환경을 역사적으로 그리고 신학적으로 정리한 것입니다. 고신총회의 역사를 구체적으로 기술하기 전에 서양과 한국에서의 교회의 역사를 간명하게 정리한 것은 편찬위원회의 요청에 따른 것이기도 하지만, 예루살렘교회로부터 시작된 하나의(One) 거룩한(holy) 보편적인(catholic) 교회(church)의 일원이 된 고신교회의 연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게 편집한 것입니다. 이 책의 중심은 제3부, ‘고신총회의 형성과 발전’ 입니다. 고신교회의 연원에서부터 70년의 역사를 주제에 따라 정리한 것입니다. 물론 완전하지는 못하지만 여러 필자들이 고신교회 70년의 발자취를 정리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제4부, ‘고신총회 기관의 역사와 현황’은 총회 산하의 여러 기관들의 역사와 현황을 정리한 것입니다. 제3부가 통시적으로 교회의 역사를 기술하였다면 제4부는 총회 산하의 여러 기관의 역사를 소개한 것입니다. 제5부에서는 역대 총회임원, 노회 현황과 교세 등 각종 자료와 연표를 정리하여 고신총회의 조직과 행정, 혹은 현황을 정리한 것입니다.
-서문 중에서-
1945년 12월 3일에는 마산 문창교회에서 경남노회 제47회 정기노회가 개최되었다. 이 노회에서 자숙안에 대해 논란이 일자 노회원은 재건노회 임원들의 총사퇴을 요구하고, 주남선 목사를 노회장에 천거하였다. 주남선 목사는 노회의 평화적인 재건은 법보다 은혜로 해야 한다며 손양원 전도사를 강사로 부흥집회를 개최한 후 노회를 개회하자고 제안하였다. 그러나 김길창, 배성권(裵聖權) 목사 등은 자신들의 각성을 의도한 집회라 하여 참여치 않았다. 집회 후 주남선 목사는 노회적인 회개와 교직자들의 자숙 등 몇 가지 실행조건을 제시하였다. 이 점에 대해 찬반양론이 있었으나 결국 수용되었다.
1946년 7월 9일 진해읍교회당에서 경남 47회 임시노회가 개최되었다. 이 노회에서는 “출옥성도들의 신학교(고려신학교) 설립을 환영하고 학생의 추천과 교사 이동(二棟)의 대여를 약속” 했다. 이런 상황에서도 일부의 교권주의자들은 자숙안을 반대하고, 12월의 정기노회를 앞두고 노회 주도권의 반전을 시도하였다. 1946년 12월 3일, 진주 봉래동교회에서 경남노회 제48회 정기노회가 개최되었는데, 이때 김길창 지지자들은 김길창 목사를 노회장으로 선출하고 노회주도권을 장악하였다. 이때 신사참배에 대하여는 더 이상 거론하지 못하도록 가결하자 신사참배 문제에 대한 회개와 교회쇄신에 관한 노회 분위기는 급선회하였다. 또 이 노회에서는 고려신학교의 인정 취소론을 제기하고 신학생 추천도 취소할 것을 결의했다. 이렇게 되자 한상동 목사는 “불손한 태도를 고침이 없이 그대로 나아가는 경남노회가 바로 설 때까지 탈퇴한다.”고 선언하고 퇴장하였다. 그의 탈퇴선언은 교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다. 1947년 1월 3일자로 부산의 초량교회, 부산진교회, 영도교회, 마산의 문창교회, 거창의 거창읍교회, 남해의 남해읍교회 등 6개 교회가 연합하여 노회 결정을 반박하는 성명서를 발표하였다. 또 부산노회 소속 67개 교회는 제48회 노회의 결의 에 항거하고 한상동 목사를 지지하는 성명서를 발표하였다. 부산의 초량교회에서는 신도대회(信徒大會)를 개최하고 주상수 장로를 회장으로 선출하고 회개운동을 전개하는 등 교회개혁을 요구하는 등 평신도들의 거센 항의가 계속되었다. 또 3월 24일에는 마산 문창교회 등 68개 교회 평신도 대표 200여 명이 모여 황철도 전도사를 회장으로 추대하고 경남노회의 부패성과 그 교권주의자들의 비양심적인 태도를 규탄하기에 이르렀다.
이런 상황에서 1947년 3월 25일 구포교회당에서 경남노회 임시노회가 개최되었다. 불리한 상황에 직면한 노회장 김길창 목사와 임원은 거센 항거에 마지못해 신사참배는 죄이며, 일본기독교 조선교단시대의 범죄사실에 대해 교리적으로 잘못된 점을 인정하고 총사퇴했다. 이것은 평신도들의 항거에 못 이긴 잠정적인 후퇴였다. 1947년 12월 9일에는 부산 광복교회에서 경남노회 제49회 정기노회가 소집되었다. 이 노회에서는 제47회 노회 때 결의한 자숙 안에 대해 불복한 목사들에게 사과서를 받도록 결의하게 되자 한상동 목사는 47회 노회에서 시한부 탈퇴선언을 취소하였다. 이 노회에서는 다시 고려신학교를 인증하고 학생 추천도 허락하기로 했다. 이때 노회장은 이순필 목사였고, 부노회장은 김만일, 서기는 박손혁 목사였다.
-본문 중에서-
제1부. 기독교의 시원과 발전
1. 예수님의 생애와 사역 / 황권철
2. 교회의 탄생과 복음의 확산 / 이상규
3. 로마와 유럽에서의 기독교 / 배정훈
4. 종교개혁과 프로테스탄트 교회의 성립 / 김중락
5. 스코틀랜드에서의 개혁과 장로교회 / 김중락
6. 17세기 이후의 개혁주의 교회 / 이성호
7. 근대선교운동과 복음의 확산 / 이상규
8. 미국에서의 기독교와 선교운동 / 이성호
제2부. 기독교의 전래와 한국에서의 교회
1. 은둔의 나라 조선 / 정하태
2. 개신교 선교사들과의 접촉 / 정하태
3. 만주와 일본에서의 성경번역 / 이성호
4. 선교사들의 내한 / 배정훈
5. 장로교회의 조직과 발전 / 김중락
6. 평양신학교와 신학교육 / 양향모
7. 교회의 부흥과 전도운동 / 황권철
8. 기독교계의 민족, 독립운동 / 김중락
9. 한국교회의 신학 / 이상규
10. 일제하의 상황과 교회에 대한 탄압 / 이상규
11. 신사참배 강요와 저항 / 이상규
12. 신사참배 반대와 순교 / 이상규
13. 1940년대의 신학적 상황과 신학교육 / 이상규
14. 일제 말엽 한국교회의 훼절 / 양향모
제3부. 고신총회의 형성과 발전
1. 태평양전쟁과 광복, 교회재건 / 김중락
2. 경남지방에서의 교회 재건(쇄신)운동 / 이상규
3. 진해신학강좌와 고려신학교의 설립 / 이성호
4. 고려신학교와 박형룡 / 황권철
5. 경남노회의 분규과 대립 / 강종환
6. 김길창 목사의 사조노회 조직과 경남노회의 분열 / 강종환
7. 제36회 총회 속회와 경남법통노회의 축출 / 강종환
8. 대한예수교장로회 총로회의 조직 / 나삼진
9. 고신교회의 지역적 확산 / 정하태
10. 학생신앙운동(SFC)의 기원과 발전 / 나삼진
11. 고려고등성경학교의 설립 / 배정훈
12. 고려신학교의 초기 신학자들 / 이상규
13. 6.25 전쟁과 교회, 복음병원의 설립 / 이상규
14. 6.25 전쟁기 고신교회의 순교자들 / 이상규
15. 1950년대 경남노회 상황과 고려신학교 / 이성호
16. 고신총회의 조직과 해외선교의 시작 / 황권철
17. 고신교회와 국제관계 / 이상규
18. 예배당 확보와 관련한 법정 소송문제 / 신재철
19. 주일성수 문제와 박윤선의 고신철수 /신재철
20. 승동측과의 합동 / 나삼진
21. 고려신학교 복교와 고신측의 환원 / 나삼진
22. 고신교회의 초기 지도자들 / 황권철
23. 고신교회와 협력했던 선교사들 / 정하태
24. 고신교회의 여성 지도자들 / 이상규
25. 고려신학교, 칼빈학원, 고신대학으로의 발전 / 배정훈
26. ‘사조 이사회 사건’과 고신 대학부 교수들의 음주 사건 / 강종환
27. 학교법인 고려학원 이사장을 둘러싼 내분 / 강종환
28. 송상석 목사에 대한 고소 사건 / 강종환
29. 법정소송에 대한 제23회 총회 결의와 제24회 총회의 번복 / 신재철
30. 경남법통노회와 경기노회, 경동노회의 행정보류 /신재철
31. 김해여고 국기 경례거부 사건 / 양재한
32. 반고소고려(고려 측)의 형성과 발전 / 신재철
33. 고신의 문서 운동 / 최정기
34. 고신교회의 해외선교 / 최정기
35. 고신대학교와 신학대학원의 발전 / 배정훈
36. 1960년대 이후의 신학자들 / 정하태
37. 반고소 경남측의 복귀와 영입(1982) / 신재철
38. 복음병원의 발전, 의예과(의과대학) 신설과 학내문제 / 나삼진
39. 1980년대 의학부와 미 문화원 방화사건 / 나삼진
40. 1980년대의 성령론 논쟁 / 배정훈
41. 고신교회의 군목 및 군 선교활동 / 장하태
42. 총회교육위원회의 조직과 활동 / 나삼진
43. 고려신학대학원의 천안으로의 이전 / 이성호
44. 고신대학교의 변화와 시련 / 배정훈
45. 복음병원의 변화와 발전 / 황권철
46. 학생신앙운동의 발전 / 나삼진
47. 미주총회, 유럽총회, 대양주총회의 조직 / 나삼진
48. 고신교회와 국제개혁교회협의회(ICRC) / 배정훈
49. 대한예수교장로회(고려) 측의 분열과 고신총회로의 통합(1975-2015) / 신재철
50. 순장총회와의 교류와 합동추진 / 이상규
51. 합신총회와의 교류와 합동추진 / 이상규
52. 노회 및 기구 개편과 쇄신 / 최정기
53. 2020년 고신 교회의 현황 / 이상규
54. 내일을 위한 교회 / 이상규
제4부. 총회 산하 기관의 역사와 현황
1. 고신대학교 / 배정훈
2. 고려신학대학원 / 이성호
3. 고신의료원 / 황권철
4. 고신총회세계선교부 / 권효상
5. 총회교육위원회 / 나삼진
6. 전국학생신앙운동 / 김중락
7. 군선교위원회, 군목활동 / 정하태
8. 전국남전도회 연합회 / 강종환
9. 전국여전도회 연합회 / 강종환
10. 전국장로회 연합회 / 강종환
11. 전국주일학교연합회 / 강종환
12. 전국 청년연합회(CE) / 양향모
13. 고려신학대학원 총동창회 / 정하태
14. 고신언론사 / 최정기
15. 은급재단 / 최정기
16. 이단대책연구소 / 서영국
제5부. 부록
1. 역대 총회 임원 명단
2. 고신총회 관련 주요 연혁
Weight | 2 lbs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