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과 신앙은 절대로 양분되지 않으며, 이성의 또 다른 측면으로서 신앙의 역할이 종교의 공적 영역에서의 독특한 기여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근대 국가가 완성하지 못했던 공공선(common good)의 배양 역시 종교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종교가 공공의 영역에 들어가면서 도덕적 이슈들에 대한 규범적 토대를 제공하는 한편 사회적 합의의 과정에서 합리적 이성으로 간파하지 못하는 본질적인 가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사회적 합의와 대화를 존중하는 민주주의 사회에서 종교는 자신의 모습을 변형시키지 않더라도 충분히 한 구성원으로서 공론장에 앉아서 대화의 파트너로서 존중받을 수 있다.
p. 32
교회의 사회적 공공선을 위한 건설적 참여는 교회다움으로부터 시작되고 마무리된다. 교회만의 정체성을 보존하되 동시에 사회적 공공선을 위해 다른 사회 기관들과 연대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 이런 도식으로 단순화하기에는 무리가 있지만, 공적 참여의 방향성을 안과 밖으로 하면서도 서로에 대한 부분적인 인정과 비판을 적절하게 하는 입장이 있는데, 바로 공공 신학(public theology)과 급진 정통주의(Radical Orthodoxy)이다.
p. 71
세계화 상황에서 공공 신학은 하나님의 언약과 일반 은총 차원에서 기독교의 공적 참여가 필요하다. 세상을 창조하시고 섭리하시는 창조주는 인류가 더불어 살기를 원하시고, 모든 피조물과 인간 존재를 위한 공공선이 기독교 공공 정책의 궁극적 목적이 되어야 할 것이다.
p. 100
급진 정통주의는 분명하게 신앙과 이성을 아주 친밀한 두 형제처럼, 서로 얽혀있는 관계로 이해한다. 이원론으로 분리하지 않으면서 각각, 신앙과 이성의 토대 위에서 서로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방식이다. 밀뱅크는 이런 사상의 대표 주자로서 어거스틴과 신플라톤주의를 꼽았고 진리와 지식의 두 방향에서 하나님에게 도달하려는 방식을 취한다고 말한다.
p. 165
의 근원과 다른 존재들과의 관계 안에서만 존재할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이성의 역할은 인간의 본성을 파악하고 사회의 선함을 증진시키는 것이며, 더 나은 사회를 향한 공동의 비전을 실현하는 것이다. 그것은 인간의 영역으로만은 불가능하며 이성을 가능하게 하는 공동체와 그 공동체의 탈이성적인 가치와 비전들에서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p. 192